“20대가 참지 않는 이유? 그만큼 참을 수 없는 환경 됐으니까”

“20대가 참지 않는 이유? 그만큼 참을 수 없는 환경 됐으니까”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9-07-30 20:34
업데이트 2019-07-31 01: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90년생이 온다’로 화두 던진 임홍택 작가

“경청해 주고 설득하며 새 법칙 만들어야”
이미지 확대
임홍택 작가
임홍택 작가
“모든 세대들이 그랬듯이 90년대생도 지금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에요. 더이상 참지 않는 세대가 된 것은 그만큼 참을 수 없는 환경이 됐기 때문이죠.”

임홍택 작가는 ‘90년생이 온다’(웨일북)라는 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 90년대생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임 작가는 30일 “그동안 우리는 새로운 세대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해 본 적이 없었다”며 책을 쓰게 된 이유를 소개했다. “어느 세대도 잘못한 건 없고 다만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까지 노력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니 그 차이를 이해해 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윗세대의 도움 없이도 웬만한 정보는 손안에서 스스로 찾을 수 있는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90년대생. 그들은 윗세대보다 더 극심한 경쟁을 겪으면서도 윗세대가 가져간 만큼의 과실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뻔한 미래를 빤히 쳐다보면서 터득한 방식이 감정 소모와 위험 부담의 최소화다. 임 작가는 애초 책 제목을 ‘99세대의 역습’으로 지으려 했다. 고학력·고스펙에도 9급 공무원을 꿈꾸는 90년대생이라는 뜻이다. 임 작가는 “특정 세대를 비판하기 위해서나 세대갈등을 조장하기 위해 쓴 글이 아니며 어느 조직에서든 혼자가 아닌 여럿의 협력이 필요하니 이제라도 함께 이야기를 해 보고, 그게 어려우면 90년대생들의 새로운 목소리를 듣는 것부터 하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90년생이 온다’는 출간 6개월여 만에 10만부 이상 팔렸고 임 작가는 전국의 여러 기업과 단체에 강연을 나간다. 그만큼 90년대생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으려는 수요가 많다는 뜻이다. 최고경영자(CEO)나 중간 관리자급 리더들이 막내 사원들을 이해하기 위한 것뿐 아니라 전 사원이 한자리에 모인 강연도 자주 있다고 한다. “대체 왜 사무실에서 앞머리에 헤어롤을 말고 앉아 있는 거죠?”, “제 사생활에 관심 좀 끄세요” 등 서로 부딪치는 질문이 쏟아진다.

임 작가는 ‘서로를 이해하세요’라는 식의 쉽고 뻔한 답을 내놓지 않는다. 그렇다고 “회사를 떠나세요”라고 할 수도 없다. 임 작가는 “출퇴근 시간이나 사무실에서의 TPO(옷을 때와 장소, 상황에 따라 갖춰 입는 것) 등 서로가 부딪치고 거슬리는 부분이 있으면 대화를 통해 합의하고 규정을 만들어 보라고 한다”고 설명했다. 사무실에서 헤어롤을 말고 있는 게 왜 거슬리는지, 내 자리에서 내 마음대로 하는 게 왜 문제인지를 터놓고 이야기하며 접점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임 작가는 “밀레니얼 세대는 10년 전부터 언급됐는데 기성세대는 기존의 룰을 당연하게 여기고 새로운 세대와 소통하지 않았다”면서 “동서고금의 숙제인 ‘버릇없는 요즘 애들’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듣고, 그들에게 왜 해야 하는지 설득하며 새로운 룰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책은 “혼자서 이룰 수 있는 건 없다”로 끝난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19-07-31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