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다큐] 잃어버린, 나를 찾다

[포토다큐] 잃어버린, 나를 찾다

김명국 기자
입력 2020-08-20 17:48
업데이트 2020-08-21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느리게 놀며 자연을 닮아 가는 곳… 오대산 명상마을 ‘옴뷔’

이미지 확대
걷기명상 참가자들이 스님의 안내로 오대산 숲길을 걷고 있다.
걷기명상 참가자들이 스님의 안내로 오대산 숲길을 걷고 있다.
바쁜 일상을 벗어나 휴식을 찾아서, 지치고 상처받은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서, 앞만 보고 달려온 시간을 뒤로하고 자신을 찾기 위해서…. 다양한 이유로 발걸음이 모이는 곳이 있다.

숲에서 지내면서 쉬고, 건강한 자연의 기운을 먹고, 욕망에서 벗어나 느리게 놀며 자연을 닮아 가면서 마음을 치유하는 곳 옴뷔(OMV)다. 오대산(Odaesan), 명상(Meditation), 마을(Village)의 약자다. 평창 오대산 초입 9만 9174제곱미터(3만평)의 넓은 오대산 숲에 둘러싸인 이곳에서는 명상을 통해 마음을 치유한다. 정적인 좌선뿐 아니라 치유의 숲길을 걷고, 차를 마시고, 요가를 하고, 인문학을 듣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미지 확대
편백나무로 지어진 숙소. 각방 오른쪽에는 명상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다.
편백나무로 지어진 숙소. 각방 오른쪽에는 명상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다.
●치유의 숲길 걷고 좌선·요가 등 통해 나에게 집중하는 ‘힐링스테이’

편백나무로 지어진 숙소에는 인터넷도, TV도, 냉장고도 없다. 잊혀진 오감을 되살리기 위해 디지털 디톡스로 이루어져 있다. 아침, 저녁 식사는 자연의 기운을 그대로 살린 채식 뷔페로 제공한다. 모든 프로그램은 종교적 색채가 드러나지 않으며 강제성이나 간섭이 없다. 수확을 얻어 가야 한다는 강박감도 없다. 마음이 가는 대로 움직이면 된다. 자연의 품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나에게 집중할 수 있는 것 또한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스테이다.
이미지 확대
동림선원에서 자연명상 후 굳어진 몸을 풀고 있다.
동림선원에서 자연명상 후 굳어진 몸을 풀고 있다.
매달 찾는다는 화가 천미옥씨는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몸과 마음 본연의 오감을 살리고, 현재의 나를 알아차린다”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정성을 다하는 자신을 발견한다”고 했다. 이런 명상 체험은 “일상으로 돌아가 모든 일에 정성을 기울이게 되고, 사물에 대해 따뜻함과 너그러움을 지니게 한다”며 매달 소진한 마음의 배터리를 충전한다고 말한다. 부부가 함께 걷기명상에 참가한 공석진·이선자씨 부부는 “숲길을 걸으면서 새로운 명상법을 배웠다”면서 “요가를 오래 했지만 걷기명상은 일반인들도 쉽게 할 수 있다”고 극찬한다. 휴가를 이용해 3대가 찾은 한용철씨는 “옴뷔의 뛰어난 자연환경은 중독성이 강해서 한 번 머물렀던 사람은 또 찾게 된다”며 주변에 널리 알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채식으로만 이루어진 20여종의 식단.
채식으로만 이루어진 20여종의 식단.
이미지 확대
오대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식당.
오대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식당.
●인터넷·TV·냉장고도 없는 디지털 디톡스… 식사는 채식 뷔페

옴뷔를 운영하는 원장 인광 스님은 “명상은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닌 오롯이 바로 지금 있는 그대로의 나를 알아차리는 것”이라면서 “이는 인식을 전환시켜 삶을 평화롭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원장 스님보다는 ‘공감사’(共感師)라 불리기를 원한다. ‘걸어야 산다’는 테마로 걷기명상 프로그램을 안내하는 선공 스님은 “1000일간의 수행 기간 동안 매일 2시간 30분씩 걸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몸이 편안해지고 마음이 명료해지는 경험을 했다”면서 걷기명상은 누구든지 쉽게 익힐 수 있다고 추천한다. 가파르지 않은 평탄한 숲길 12㎞를 걸으며 자연명상을 하는 것이다. 걸음걸음을 옮기면서 발바닥에서 느껴지는 감각을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며 자연과 공감하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차명상을 하고 있는 참가자들.
차명상을 하고 있는 참가자들.
옴뷔를 찾는 사람들의 사연은 저마다 다르다. 그러나 한결같이 명상을 통해 몸과 마음이 과거도 미래도 아닌 지금 현재에 머무는 것을 체험한다. 복잡했던 자신이 고요해지고 편해지는 것을 느낀다. 오대산 숲의 청정한 자연을 닮아 가면서 일상으로 돌아간다.

글 사진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2020-08-21 2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