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박둘선의 영화 음식 이야기] <1>아이를 위한 도시락

[모델 박둘선의 영화 음식 이야기] <1>아이를 위한 도시락

입력 2016-06-19 18:12
업데이트 2016-06-19 18: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곰·닭·문어… 재미 더하고 당 줄인 ‘엄마표 건강 밥상’

“조이는 친숙한 요리를 원해. 고급 요리가 아니라.” 영화 ‘사랑의 레시피’에서 엄마를 잃고 거식증에 걸린 소녀를 걱정하다 어른들은 깨닫는다. 정말 그렇다. 다들 ‘고급 음식’을 선망하지만 마음속 깊숙한 곳엔 ‘친숙한 요리’에 대한 향수가 있다. 옆에서 크게 한턱 쏜다면 비싼 음식 목록을 들추지만 누군가 직접 요리를 해 주겠다고 하면 그 맛이 엄마와 닮은 맛이길 바라는 것처럼 말이다. 쉽게 채워질 수 없는 향수다. 영화 ‘집으로’에서 프라이드치킨을 기대하던 손자에게 촌로인 할머니가 “물에 빠진 닭”(백숙)을 내놓듯 요리엔 개성과 경험이 덧칠해지기 때문이다.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요리하는 맛에 푹 빠진 모델 박둘선씨가 서울요리학원과 함께 영화 속 음식을 하나씩 만드는 여정에 나선다. 패션위크 몇 달 동안 절식하던 오래된 습관을 담은 박씨의 요리는 당(糖)과 간이 덜한 대신 재료의 고유한 맛이 은은하게 퍼지는 개성을 지녔다.

이미지 확대
곰 유부초밥, 닭 메추리알, 문어 비엔나소시지 등으로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도시락. 아이와 함께 만들면 더 재밌고,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아래)에서처럼 친구들과 나눠 먹으면 더 즐겁다. 서울요리학원 제공
곰 유부초밥, 닭 메추리알, 문어 비엔나소시지 등으로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도시락. 아이와 함께 만들면 더 재밌고,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아래)에서처럼 친구들과 나눠 먹으면 더 즐겁다. 서울요리학원 제공
이미지 확대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
지금은 학교에서 급식이 나오지만 어른들의 기억 속에는 도시락이 있다. 매일 아침 도시락을 싸는 사람은 엄마였다. 엄마가 없다면?

2012년 국내에 개봉된 인도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은 학교에 도시락을 싸 가지 못하는 고아 스탠리의 이야기다. 스탠리는 삼촌이 경영하는 음식점에서 일하며 때로는 맞기도 하는 등 불우한 환경에서 살지만 노래, 공부, 춤 등이 뛰어난 학급의 1인자다. 교사 한 명이 역시 도시락을 안 싸 와 스탠리가 곤란에 처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스탠리에게 도시락은 급우들의 따뜻한 마음이 전달되는 도구이자 엄마를 그리워하는 매개체다. 요즘도 가끔 현장 체험일 등에 도시락을 싼다. 엄마는 부담스럽지만 아이는 설렌다.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서울요리학원에서 김용무 강사의 도움을 받아 모델 박둘선씨가 아이들을 위한 도시락을 만들었다. “아이와 함께 만들고 야외에 나가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김 강사의 말처럼 건강도시락이다.

우선 닭 모양의 메추리알. 당근으로 닭 볏 모양을 만든다. 세로로 길게 자른 당근을 도마 위에 놓고 칼집을 일자와 대각선으로 번갈아 넣으면 닭 볏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칼집을 넣는 과정에서 얻은 얇고 길쭉한 당근은 작게 잘라 닭 부리 모양으로 쓰면 된다. 닭의 눈도 만든다. 검은깨를 꼬치로 찍어 눈에 해당하는 부분에 넣어 준다.

다음은 ‘쿡방’(요리방송)에서 인기를 끌었던 문어 모양의 비엔나소시지다. 김 강사는 소시지 한쪽을 4등분할 때 3분의2 이상 잘라야 문어 모양이 나온다고 조언했다. 중간 불에서 프라이팬에 기름을 살짝 두르고 2~3분 정도 굽자 소시지의 잘린 부분이 휘어진다. 색깔을 좀 더 내려면 더 구우면 된다. 다음은 키친타월로 기름기를 뺀다. 메추리알과 마찬가지로 검은깨와 당근을 이용해 문어의 눈과 코를 만든다.

이제 주요리인 샌드위치다. 식빵은 약불에서 살짝 구워 낸다. 식빵에 남아 있는 수분기를 날려 주고 식감을 높이기 위해서다. 토스터를 이용해도 된다. 바로 먹는 음식이 아닌 도시락인지라 양상추에서 수분을 흡수해 눅눅해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최대한 막기 위해서다.

햄도 약불에 굽는다. 햄은 내부에 기름을 함유하고 있어 구울 때 기름이 필요 없다. 키친타월로 기름기를 뺀 뒤 그 위에 슬라이스 치즈를 얹어 둔다. 그러면 치즈가 살짝 녹으면서 햄과 치즈가 자연스럽게 붙어 있게 된다. 계란 프라이를 만들고 양상추를 크게 찢어 물기를 털어 낸다. 이제 식빵에 딸기잼을 바른다. 단 거를 싫어하는 아이라면 바르지 않아도 된다. 박씨는 “꿀이나 마요네즈를 발라도 괜찮겠다”는 아이디어를 냈다. 역시 당을 줄이기 위해서다. 식빵 사이에 햄과 치즈, 양상추, 계란 프라이를 넣으면 샌드위치가 완성된다. 양상추에 머스터드소스를 살짝 바르면 내용물이 보다 잘 모여 있게 된다. 샌드위치를 완성한 뒤 전체적으로 눌러 줘도 된다.

다음 주요리는 유부초밥이다. 집에서 유부와 초대리를 만드는 것이 어려우면 시중에서 팔고 있는 재료를 사서 써도 된다. 유부초밥의 핵심은 밥. 쌀과 물의 비율을 1대1로 해 고들고들한 밥을 짓는 것이 포인트다. 초대리에 버무린 밥을 손으로 잡아 아이의 취향에 맞게 크기를 조절한다.

유부초밥도 장식한다. 원형틀로 슬라이스 치즈에서 눈 모양을 찍어 낸다. 이 눈 모양을 반으로 자르면 귀 모양이 된다. 이어 김으로 입 모양도 찍어 낸다. 생활용품점에 가면 다양한 모양틀을 살 수 있다. 눈, 코, 입 등이 완성되면 꼬치를 이용해 유부초밥에 얹어 주면 된다. 잘 안 붙는 것 같으면 머스터드소스를 살짝 발라 주면 된다.

입가심을 위한 과일로 멜론을 선택했다. 도시락을 다 담고 보니 이제 야외로 나갈 일만 남았다.

“엄마 마음을 알까.” 도시락을 만들면서 박씨는 이렇게 혼잣말을 했다. 도시락에 담기는 엄마의 마음을 아이들과 함께 나눠 보자. 김 강사는 아이와 함께 만들 때는 ‘왜?’라는 질문에 답해 주고 요리 시간을 어른의 두 배 정도로 잡아서 흥미를 유발하라고 추천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6-20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