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를 보다] 백옥 같은 태양 표면… 지구엔 불길한 기운?

[우주를 보다] 백옥 같은 태양 표면… 지구엔 불길한 기운?

입력 2016-12-09 18:52
업데이트 2016-12-09 19: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옥 같은 모습으로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 그러나 태양의 표면은 마치 화장한 듯 깨끗한 모습으로만 보인다.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태양활동관측위성(SDO)에서 촬영한 태양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난달 14~18일 SDO가 태양의 활동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보통 검게 나타나는 흑점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14~18일 SDO에 촬영된 태양의 모습. 거의 점 하나 보이지 않을 만큼 깨끗하다. 출처:Solar Dynamics Observatory, NASA
지난달 14~18일 SDO에 촬영된 태양의 모습. 거의 점 하나 보이지 않을 만큼 깨끗하다.
출처:Solar Dynamics Observatory, NASA
●태양 활동량 ‘흑점’ 11년 주기 극대·극소 교차

강력한 자기장이 만들어 내는 태양의 흑점은 주변 표면보다 1000도 정도 온도가 낮아 검게 보인다. 흑점의 중심부에서 용암이 흘러나오듯 플라스마가 분출된다. 특히 흑점 관측이 중요한 이유는 흑점이 많을수록 태양 활동이 왕성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흑점이 많아진다는 것은 태양 활동이 왕성하다는 신호로,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많아지고 적으면 그 반대가 된다.

●사라지는 흑점… 기온 떨어지고 대가뭄도

실제로 흑점이 보이지 않으면 지구의 기온이 약간 떨어져 지구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 이는 역사적인 기록에도 남아 있다. 과거 1000년 동안 태양 흑점이 장기간 사라진 것은 최소 세 차례로, 이후 큰 가뭄이 들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흑점이 관측되지 않았던 15세기 10여년에 걸쳐 대가뭄이 이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태양 흑점이 사라지는 현상 역시 지구에 불길한 기운이 닥친다는 것을 예고하는 것일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태양 흑점이 사라지는 것도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 태양은 11년을 주기(Solar Cycle)로 활동하는데, 흑점 수가 최대치에 이를 때를 ‘태양 극대기’(solar maximum), 그 반대일 때를 ‘태양 극소기’(solar minimum)라 부른다. 곧 2013~2014년 초 태양은 극대기에 해당됐으며 당시 지구는 흑점 폭발로 인한 단파통신 두절, 위성 장애, 위성항법장치 오류, 전력망 손상 등을 걱정해야 했다.

이와 반대로 지금은 태양 극소기로 접어들어 흑점 활동이 줄었을 뿐 또다시 흑점이 이글이글 타오를 것이라는 것이 NASA의 전망이다.

●일부 학계 “2030년 무렵 미니 빙하기 온다”

그러나 일부 학계에서는 지구에 미니 빙하기가 올 수 있다는 논문도 내놓고 있다. 지난해 영국 노섬브리아대학 태양과학자 발렌티나 자르코바 교수는 태양 활동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태양 활동이 2030년 무렵에 60% 감소해 10년 동안 미니 빙하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구가 마지막으로 미니 빙하기를 겪은 것은 이른바 마운더 극소기(Maunder Minimum)로 불리던 시기로 1645년부터 1715년까지 지속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2016-12-10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