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의료한류’ 현장을 가다

[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의료한류’ 현장을 가다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구촌, 한국 첨단의료시설에 꽂혔다

일본에 이어 유럽과 미주에 몰아친 ‘K팝’(K-POP) 열풍에 힘입어 ‘K-MEDI’라는 또 다른 한류가 세계인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른바 ‘의료관광산업’이다. 수준 높은 의료시설에서 건강검진을 받고 한류 연예인들의 작고 갸름한 얼굴을 선망해 한국으로 의료관광을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성모병원 헬스투어에 참가한 카자흐스탄 여행사 대표들이 핵의학과에서 PET-CT 등 암을 진단하는 첨단 장비를 둘러보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헬스투어에 참가한 카자흐스탄 여행사 대표들이 핵의학과에서 PET-CT 등 암을 진단하는 첨단 장비를 둘러보고 있다.


지난 17일 서울성모병원 핵의학센터. 금발의 여성들이 암을 진단하는 첨단장비인 PET-CT를 만져 가며 러시아어로 수다를 떨고 있었다. 첨단 의료시설을 견학하러 한국에 온 카자흐스탄 여행사 사장들이다. 스비에타(43)는 “건강검진을 위한 의료관광단을 모집해 다음 달부터 한국에 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 드라마를 즐겨 본다는 그녀는 단체 성형수술의 예약까지 하고 갈 계획이다. 쌍꺼풀, 턱교정 등 성형수술은 최근 2∼3년 동안 연평균 30%씩 증가 추세를 보일 만큼 외국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국제의료시대에 세계의 유명 병원들과 벌이는 환자 유치 경쟁이 뜨겁다. BK동양성형외과의 김병건 원장은 “수술하러 온 관광객에게 홈페이지를 통해 공항 픽업, 호텔 예약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처방하려면 해당국 언어를 구사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자생한방병원의 라이문트 로이어(오스트리아) 원장은 서양인 1호 한의사다. 그가 써주는 자국어로 된 한약 복용 설명서를 보면서 관광객들은 한방 치료에 한층 친숙해진다.

외국인 진료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의료관광 코디네이터’란 신종 직업도 생겼다. 양성 교육은 한국관광공사, 지자체, 대학교 등에서 실시한다. 한국관광공사 3층 강의실에선 유방 확대술에 사용할 실리콘의 원리와 의료 관광객 유치에 대한 교육이 한창이다.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시집온 지 8년째인 캄 라이몽(32)은 “코디네이터가 돼 고향에서 오는 동포들에게 하나라도 더 챙겨 주고 싶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어깨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우크라이나 여성이 약침 치료를 받고 있다(자생한방병원).
어깨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한 우크라이나 여성이 약침 치료를 받고 있다(자생한방병원).
이미지 확대
24의료관광종합지원센터를 찾은 외국인들이 병원 예약 및 진료 상담을 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24의료관광종합지원센터를 찾은 외국인들이 병원 예약 및 진료 상담을 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이미지 확대
뉴질랜드 여성이 수술 후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3D 가상성형 사진을 보고 있다(BK동양성형외과).
뉴질랜드 여성이 수술 후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3D 가상성형 사진을 보고 있다(BK동양성형외과).


지구촌의 의료관광산업 규모는 내년에 1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이 비록 의료관광산업에 늦게 뛰어든 편이지만 우리의 의료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세계인들이 자국 병원을 이용하지 않고 한국까지 와서 치료를 받는 이유는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한국의 의료 기술은 미국, 독일 등 의료 선진국의 90% 이상 수준이라고 한다. 이문향 삼성서울병원 국제진료소장은 “특히 암 치료, 간 이식, 성형수술 분야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 병상 수와 MRI, 로봇 수술기 등 첨단 의료장비 보유율도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개선해야 할 점도 적지 않다. 한국관광공사 의료관광사업단 주상용 팀장은 “태국이나 싱가포르처럼 의료관광산업이 활성화되려면 무엇보다 홍보 마케팅을 강화하고 의료비자 간소화, 의료관광 소비 금액에 대한 세제혜택 부여 등 세부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러시아 남성이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받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러시아 남성이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받고 있다.
이미지 확대
특수어권 인력 확보를 위해 다문화 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코디네이터 양성교육을 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특수어권 인력 확보를 위해 다문화 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코디네이터 양성교육을 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한국이 의료관광 선진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희망은 수준 높은 의료진에 있다. 지난주 대학들이 대부분 2012학년도 수시모집을 마감했다. 올해도 전 계열을 통틀어 의학계열 지원율이 가장 높다. 1970~80년대 최고 수재들이 몰렸던 전자공학이 IT 강국인 대한민국을 먹여 살리고 있는 것처럼 90년대 이후 의과대학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이 몰려 고품격 의료관광의 ‘자원’이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의료관광은 첨단과학의 집약체로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적극 육성해 미래성장 사업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의료산업의 선진화와 한국 관광의 선진화를 이끄는 한국의료관광이 한류를 업고 세계 속으로 뻗어 나가길 기대해 본다.

글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1-09-24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