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량 줄어 20년 만에 호수가 사막으로”

“저수량 줄어 20년 만에 호수가 사막으로”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막화 방지 전문가 쩡바이위 에코피스아시아 中 자문위원

쩡바이위(63) 에코피스아시아 중국 자문위원은 문화대혁명이 한창이던 1968년, 스무살의 나이에 아바가기 훙치가차(중국 행정구역상 촌에 해당)에 하방(下放·지식청년들의 농촌활동)되면서 차간누르 호수와 인연을 맺었다. 이곳에서 13년 동안 목축민들과 함께 생활한 뒤 1981년 베이징으로 돌아가 중국 중앙정부 경공업부에서 근무했다. 1999년에 은퇴한 그는 다른 일자리를 포기한 채 ‘제2의 고향’이 돼 버린 훙치가차로 돌아와 차간누르 호수의 사막화 방지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차간누르 호수 사막화의 심각성은 언제부터 느꼈나.

-1999년 은퇴한 뒤 이 지역을 계속 찾았는데 차간누르 호수가 말라가는 것을 눈으로 지켜보면서 그 심각성을 절실하게 느꼈다. 1992년과 1996년에 이곳을 찾았고, 1998년 이후에는 매년 방문했는데, 확실히 내가 이 지역을 떠난 1980년대 초반 이후 저수량이 크게 줄었다. 내가 이 지역에서 생활할 때는 호수 위에 배를 띄우고 7~8m 정도 되는 노를 저어도 밑바닥에 닿지 않았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수심이 1m도 되지 않았고, 2001년에는 무릎까지도 차지가 않았다. 그러다 2002년에 호수가 말라들면서 사막화를 심각하게 우려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사막화 방지사업 초반에 시행착오는 없었는지.

-차간누르 호수의 사막화를 방지하겠다고 결심한 뒤 처음 벌였던 사업이 나무 심기다. 2000년 한 미국 기업의 후원으로 차간누르 호수에 포플러 나무를 심었는데, 2년이 지나고 나니 다 말라 죽어버렸다. 이 지역이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초원 지대라는 점을 간과했던 것이다. 그때 얻은 교훈이 환경보호 활동을 할 때는 현지 자연환경의 조건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해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호수가 완전히 말라버린 이후에 전문가들과 함께 이 지역을 답사하면서 현지의 자생식물인 감봉이 사막화 방지에 적절하다는 말을 들었고, 2003년부터 감봉을 파종하기 시작했다.

→최근 한국의 민간단체나 기업 등이 중국과 몽골에서 나무심기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몽골이나 중국의 입장에서는 나무가 뿌리를 내려 흙과 모래를 붙잡아 준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별로 이득이 될 게 없을 것이다. 나무를 심어서 비산을 막을 수 있는 입자는 비교적 크고 무거운 입자인데, 정작 이러한 입자는 바람이 불어도 한국까지 날아가지 않는다. 이보다 더 작고 가벼운 입자들은 상공 1000m까지 날아올라 한국에 황사 피해를 입히지만, 이런 입자들은 나무를 심는다고 해서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다.

2011-07-26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