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원 없는 ‘라싸의 폐’ 中 라루습지 보호 고민

오염원 없는 ‘라싸의 폐’ 中 라루습지 보호 고민

입력 2010-07-08 00:00
업데이트 2010-07-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구 50만명의 라싸(拉薩) 시내에는 ‘라싸의 폐’ 역할을 하는 대규모 습지가 보존돼 있다. 면적 6.2㎢의 라루(拉魯)습지다. 라싸 도시계획구의 9분의1 규모다. 도심에 이처럼 대형 자연습지가 보존돼 있다는 점은 놀랍다. 티베트자치구 환경보호청의 장바이(江白) 부청장은 “라루습지는 공기정화는 물론 지하수위를 유지시켜주는 등 라싸의 폐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도시계획구 안에 이 같은 자연보호구를 설정해 보존하는 것은 중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례”라고 자랑했다.
이미지 확대


사실 티베트자치구의 라루습지 보호 노력은 가상해 보인다. 전문기구에다 24명의 전담인원을 배치해 습지 오염과 훼손을 막고 있다. 중앙정부도 지방정부 보호구였던 라루습지를 몇 년 전 국가급 보호구로 승격시켜 지원을 강화했다. 자치구 정부는 무려 15억위안(약 2700억원)을 투입해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주변의 주택들을 철거했다.

장 부청장은 “라싸를 비롯해 티베트 전역에는 오염산업이 거의 없다.”면서 “오염에 대한 규제를 매우 엄격하게 적용하면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는 2008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155억위안을 티베트 환경보호에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지난 10년간 45개의 자연보호구를 설정했다. 티베트 전체 면적의 34.4%에 이르는 규모다.

그럼에도 티베트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는 어느 때보다 높다. 특히 서부 대개발이 본격화된 2000년대 중반 이후 생활이 윤택해진 주민들에게서 나오는 생활쓰레기가 칭짱(靑藏)고원을 훼손하고 있다. 마을 주변의 하천은 썩어 들어가기 시작했다.

지난 5일부터 이틀간 베이징에서 열린 서부 대개발 업무회의에서도 환경보호가 주된 의제로 논의됐다. 하지만 30여분 동안 진행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주석의 연설에서 환경보호 관련 언급은 20여분 뒤에서야 나왔다. 민족 화합을 위한 지역 개발과 국가 미래를 위한 환경 보호 사이에서 고민하는 중국의 현주소다.

라싸 박홍환특파원
2010-07-08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