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마스크가 ‘감정맹’을 만든다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마스크가 ‘감정맹’을 만든다

입력 2020-10-26 20:32
업데이트 2020-10-27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자 얼굴에서 읽는 감정정보
마스크 착용에 반도 알기 어려워
마스크가 삶의 기본이 되는 사회
새로운 소통 방식을 개발해야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서 환자의 표정은 중요한 정보원이다. 말하는 것을 들으며 얼굴의 미묘한 변화를 알아채야 한다. 더욱이 내가 조언이나 해석을 했을 때 씨도 안 먹힌 건지, 반감만 준 건지, 제대로 핵심에 다다른 것인지는 표정이 제일 먼저 알려준다. 마스크가 에티켓이 되면서 이런 소중한 정보원을 잃어버렸다. 몇 달만 참으면 될 줄 알았는데, 오래 함께 갈 마음의 준비를 하게 된다. 코와 입까지 얼추 70%를 가리고 있으면 지금 내 앞의 사람이 하는 말의 내용은 들어오나 여기에 실린 감정은 반도 알아차리기 어려워졌다. 이래저래 피로만 쌓인다.
이미지 확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람이 한여름에도 꼭 마스크를 쓰고 검찰 포토라인에 서는 것은 표정을 노출하기 싫어서이다. 또 주름살을 피기 위해 보톡스 주사를 맞은 사람과 대화하면 묘한 엇박자가 생긴다. 다림질한 듯한 얼굴에서 표정이 싹 사라져서다. 듣는 것보다 보는 것이 참 많은 것을 전달했다는 걸 깨닫는 요즘이다. 입모양을 ‘바’로 하는 화면에서 실제 소리는 ‘다’라고 나오면 ‘바’로 더 많이 인식하는 걸 ‘맥거크 효과’라 한다. 뇌에서 시각을 청각보다 우선해서 받아들여 생기는 현상이다. 입을 보지 않고 소통하니 빠르고 정확한 이해에 어려움이 생긴다. 인간과 침팬지 사이의 결정적 차이가 생긴 것은 얼굴에 털이 없어서 훨씬 복잡한 표정으로 많은 정보가 오간 덕분이라는 학자들의 이야기가 확 와닿는다.

더 자세히 쪼개서 보자. 감정에 따라 얼굴 부위가 담당하는 영역이 다르다.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해서 표정을 읽을 때 어느 부위를 주목하는지 분석한 연구가 있다. 눈은 주로 분노ㆍ공포ㆍ슬픔을, 입은 즐거움과 혐오를 인식하는 데 중요했다. 마스크를 쓰고 다니면 잘 알아차릴 수 있는 건 화가 났거나 무서워하는 것 같은 강한 감정뿐이다. 그 사이에 있는 행복 같은 좋은 기분이나 미묘한 불편한 감정은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그러니 중간에서 상대가 만족하는지, 혹은 부담스러워하며 “쟤 왜 저래” 하는 표정을 지을 때 재빠르게 알아차리고 부드럽게 전환할 기회를 놓치기 쉽다. 말은 길어지고 언성은 높아지나 감정은 이미 상한 다음이다.

얼굴의 어디를 유심히 보는지 개인차가 있다. 성격적으로 예민한 사람일수록 눈을 많이 본다고 한다. 공포와 분노를 빨리 인식해서 피하거나 맞서 싸우는 반응을 판단하려는 것이다. 동서양 문화의 차이도 있다. 표정을 읽을 때 동양인은 상대의 눈 부위에 주로 시선이 가 있고 서양인은 입을 포함한 전체를 보고 파악했다. 문화적 차이로 동양인은 눈만으로 사람을 파악하는 데 익숙해서 감염을 막기 위해 마스크를 쓰는 데 쉽게 따랐다. 서양인들은 그러면 표정을 읽기 어려워져 심정적으로 강한 거부감을 가졌던 것이 아닌가 한다. 비록 그걸 자유의지, 선택의 자유로 멋지게 포장했지만 말이다.

최근 독일 밤베르그대학의 클라우스 크리스티안 카본 교수가 여기에 착안해서 마스크가 표정 읽기 능력에 정말 혼란을 주는지 확인해 보았다. 같은 사람의 6가지 표정을 마스크를 쓴 것과 아닌 것을 비교해 읽게 한 것이다. 중립과 공포는 차이가 없었지만 혐오, 분노, 슬픔, 행복은 마스크를 썼을 때 확연히 오답이 많았다.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한 우리는 서로 뭔가 무서운 일이 일어나야 겨우 신호를 정확히 알아챌 수 있는 것이다. 풍부한 감정의 반도 제대로 읽지 못하게 된 감정맹이 된 형국이다.

마스크가 일상화되며 말을 하는 것뿐 아니라 표정을 통해 감정을 읽는 것에서 큰 장벽이 생겼다. 하지만 마스크는 삶의 기본이 될 것 같다. 평소 눈치가 빨라 맥락을 잘 읽는 사람이라면 문제없이 잘 적응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갑갑하던 사람들은 더욱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양극화가 일어날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살아야 할까?

우리도 이탈리아 사람같이 대화할 때 손짓과 몸짓 제스처를 크게 하는 습관이 생길 거란 상상을 해 보았다. 표정이 주는 정보를 포기한 대신 다른 신호를 늘려서 소통의 밸런스를 맞추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다. 모름지기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건 적응을 잘하는 존재라는 것만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답답한 현실이나 어떻게든 통해야 하지 않겠는가.
2020-10-27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