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진미

울진진미

입력 2013-02-21 00:00
업데이트 2013-02-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장기 도는 퇴근길. 길가 트럭 위에 김이 모락모락, 빛깔도 먹음직스러운 홍게가 익어갑니다. 회가 동한 데다 값도 싸니 무심결에 덥석 집어듭니다. 한데 온 가족이 둘러앉아 다리 뜯어 살을 발라 먹으려니 짠 국물만 나오기 일쑤네요. ‘무늬만’ 홍게였던 탓이지요. 홍게는 그렇게 갯가 걸음 잦지 않은 도시인들 사이에서 맛없고 값싼 게의 대명사가 되어 갔습니다. 하지만 이는 홍게의 본질과 한참 다릅니다. 경북 울진 등 제철 해산물이 펄떡대는 동해안 항포구에서라면 그 차이를 확연히 알게 되지요.

비싼 대게 저리가라 ‘주홍빛 꿀벅지’ 홍게

대게의 발이 얼마나 고운지는 햇빛을 마주하고 봐야 안다. 그늘에서 보면 색바랜 주황빛이다. 그런데 빛을 받으면 싱싱한 주황빛으로 되살아난다. 매니큐어로 멋을 낸 여인의 손끝인들 저리 고울 순 없다. ‘붉은대게’라 불리는 홍게도 마찬가지. 만지면 묻어날 것 같은 주홍빛이 선연하고 아름답다.

홍게와 대게의 길다란 다리는 여인의 오종종한 손가락에 곧잘 비유된다. 아침 햇살이 긴 다리를 통과해 고유의 몸빛을 살려낼 때면, 여인의 매니큐어 바른 손톱쯤은 댈 게 못될 만큼 고운 빛을 띤다. 한 아낙이 후포항 경매에 앞서 주황빛으로 물든 대게를 가지런하게 정렬하고 있다. 대게 경매가 끝나면 곧이어 홍게 경매가 열린다.
홍게와 대게의 길다란 다리는 여인의 오종종한 손가락에 곧잘 비유된다. 아침 햇살이 긴 다리를 통과해 고유의 몸빛을 살려낼 때면, 여인의 매니큐어 바른 손톱쯤은 댈 게 못될 만큼 고운 빛을 띤다. 한 아낙이 후포항 경매에 앞서 주황빛으로 물든 대게를 가지런하게 정렬하고 있다. 대게 경매가 끝나면 곧이어 홍게 경매가 열린다.
‘홍게는 대게에 비해 속살은 적지만 가격이 절반 수준이어서 ‘서민 대게’로도 불린다.’ 인터넷 검색창에 홍게를 치면 흔히 접하는 문구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가격이 절반 수준인 것은 맞다. 하지만 속살이 적어 그리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대목에서 홍게는 할 말이 많다. 홍게도 대게처럼 북풍에 맛이 들고 살점도 포실해진다. 이맘때 홍게 다리를 보면 대게 못잖게 ‘꿀벅지’다. 실팍한 살은 달고 짭조름한 맛이 일품이다. 대게에 견줘 짭조름한 건 훨씬 깊은 수심층에 서식하기 때문일 터다. 하지만 그 차이는 미세하다. 호불호를 따질 근거가 못 된다. 홍게 맛을 아는 현지인들은 되레 깊은 바다 향이 더 묻어난다며 비싼 대게 대신 푸짐한 홍게를 곧잘 택한다. 그런데 도회지에서 질 떨어지는 홍게가 판을 치게 된 사연은 뭘까.

대개의 수산물이 그렇듯, 홍게도 일본이 최대 수출 지역이다. 국내 공장에서 가공된 뒤 곧장 일본에 수출된다. 그러니 부러 산 채 들여오는 노고를 감내할 까닭이 없다. 그저 상하지 않게 얼음 꽉꽉 채운 뒤 차곡차곡 쌓아 들여오면 된다. 엄기표 울진군 홍보팀장에 따르면 퇴근길 아빠들을 유혹했던 홍게는 사실 경매에 오르지 못했거나, 공장 가공용으로 쓰기도 어려울 만큼 상품성이 떨어지는 녀석들이 대부분이다.

요즘엔 홍게를 산 채 들여오는 경우가 많다. 국내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게에 이어 진행되는 경매를 통해 제값 받고 팔려 나간다. 대게처럼 7~8월 금어기도 있다. 아무때나 마구잡이로 잡는 천박한 녀석은 아니다. 그런데도 값은 대게에 견줘 절반쯤 된다. 현 시세가 유지됐으면 좋으련만, 조금이라도 유명해지면 몸값부터 올리는 게 다반사니, 그게 걱정이다.

울진군은 올해 대게 축제 명칭을 ‘2013 울진대게와 붉은대게 축제’로 정했다. 동해안 대부분 항·포구에서 출하되는 홍게의 원산지 지위를 선점하려는 이유도 있지만, 홍게를 대게와 대등한 반열에 올려 그간의 오해를 풀자는 뜻도 담았다. 축제는 오는 28일부터 3월 3일까지 후포항 일대에서 열린다. 대게와 붉은대게 무료 시식, 붉은대게 관광객 특별 경매전 등 ‘붉은대게’를 알리려는 다양한 노력들을 담았다.

기름장에 키스 살짝 ‘쫀득쫀득’ 문어 다리

늦겨울 울진의 또 다른 별미로 꼽히는 게 문어다. 문어를 만나려면 구산항으로 가야 한다. 새벽 6시. 잠잠하던 구산항 위판장이 떠들썩해진다.

이미지 확대
갓 삶아낸 문어. 진보랏빛으로 변한 색채가 이채롭다.
갓 삶아낸 문어. 진보랏빛으로 변한 색채가 이채롭다.
문어 경매 때문이다. 여기저기 고무 대야들이 놓였고, 그 안에 크기가 제각각인 문어들이 가득 찼다. 구산항은 크지 않은 포구다. 하지만 문어를 취급하는 울진 관내의 위판장 가운데는 가장 크고, 이름도 널리 알려졌다.

경매가 시작되기 전, 경매사들이 설렁설렁 돌아다니며 문어의 ‘간’을 본다. 슬쩍 살펴보는 듯하지만 눈매는 매섭다. 발로 대야를 툭툭 쳐 보기도 한다. 대야 하나를 통째 차지한 녀석도 있다. 몸무게가 무려 27㎏에 달하는 기골이 장대한 녀석이다.

경매는 20여분 만에 끝났다. 흔히 ‘돌문어’라고 부르는 녀석은 값이 눅다. 살이 다소 단단하고 맛이 덜해서다. 1㎏에 1만 6000원에 낙찰됐으니, 2만 5600원에 팔린 녀석에 견줘 절반 조금 넘는 가격을 받은 셈이다. 덩치 큰 녀석도 마찬가지. 43만여원에 팔렸다. 마리당 가격은 높지만 1㎏당 가격은 1만 6000원 선에 그쳤다.

‘짭짤한’ 녀석들은 5㎏ 미만의 작은 것들이다. 맛도 좋고, 운반하거나 요리하기도 수월하다. 1㎏당 가격이 2만원을 훌쩍 넘는 것들은 죄다 이 정도 크기를 하고 있다.

문어는 사철 나온다. 특별한 금어기도 없다. 그런데 왜 하필 지금일까. 이만석 전 구산리 어촌계장은 당연하다는 표정으로 “맛도 좋고 값도 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요즘은 깊은 수심에 있던 문어가 얕은 곳으로 나오는 시기다. 수압 때문에 높아졌던 체내 염분이 줄고, 살도 쫀득해진다. 깊은 수심의 문어를 잡아 삶으면 무게가 400g 가까이 주는 것에 견줘, 요즘 잡히는 녀석들은 거의 변화가 없단다.

설 명절을 전후해서는 문어의 몸값이 상종가를 친다. 너나없이 제사상에 문어를 올리는 영남 지방의 습속 때문이다. 그러다 명절이 지나면서 값이 떨어진다. 그게 이맘때다. 비교적 싼 값에 쫀득한 문어의 살점을 맛볼 수 있으니, 그야말로 제철이다.

서울 등 외지에서는 초고추장, 혹은 고추냉이 푼 초고추장에 문어를 찍어 먹는 게 일반적이다.

현지에선 다르다. 고추냉이 푼 간장을 으뜸으로 꼽는다. 두 번째가 소금 넣은 기름장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문어의 담백한 살 맛을 맛보기 맞춤하기 때문이다. 이에 견줘 초고추장은 향이 강해 문어의 제맛을 느끼기 어렵다는 게 이 지역 사람들의 평가다.

묵은지여 보쌈하라 ‘고소한 살맛’ 곱새기

이처럼 맛에 대한 관점은 늘 제각각이다. 사람마다, 그리고 지역마다 갈리는 경우가 흔하다. ‘곱새기’도 그렇다. 공식 명칭은 큰머리 돌고래다. 맛으로는 고래고기 가운데 가장 떨어진다는 평가다. 하지만 울진 사람들은 곱새기 고기를 보면 한 점 하자며 입맛을 다신다.

이미지 확대
검게 탄 삼겹살을 보는 듯한 곱새기 고기. 묵은지에 싸 입에 넣으면 고소하면서도 비릿한 바다 향이 물씬 전해진다.
검게 탄 삼겹살을 보는 듯한 곱새기 고기. 묵은지에 싸 입에 넣으면 고소하면서도 비릿한 바다 향이 물씬 전해진다.
여느 고래들처럼 곱새기도 포획이 금지돼 있다. 다른 생선을 잡기 위해 쳐 놓은 그물에 걸리는, 이른바 혼획된 곱새기만 검사 지휘를 받은 뒤 판매한다. 흔하게 나질 않으니, 맛보기도 쉽지 않다. 늦은 밤, 갯가 사람들이 즐겨 찾는 허름한 선술집을 찾아 가야 만날 수 있다.

맛은 부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비리고 고소한 건 똑같다. 살코기의 경우 식감이 순대에 곁들여 파는 간을 씹는 듯하다. 소금에 찍어 먹거나, 묵은 김장김치에 싸서 먹는다. 한데, 이 김치가 또 별미다. 전갱이 새끼를 일컫는 ‘아지’와 청어, 가자미, 오징어 등 갯가에서 흔히 나는 생선들을 함께 넣어 익혔다.

비릿할 것 같은 김치에 그보다 열 배는 더 비린 곱새기를 얹어 먹는다니, 듣기만 해도 비린내가 나는 듯하겠다. 하지만 씹을수록 비린 맛은 사라지고 고소한 맛이 입안 가득 남는다.

글 사진 울진 손원천 여행전문기자

angler@seoul.co.kr

[여행수첩(지역번호 054)]

→가는 길:수도권에서 승용차로 갈 경우 영동고속도로를 타고 강릉까지 간 뒤 동해고속도로와 7번 국도를 번갈아 이용하는 게 편하다. 중앙고속도로 영주, 혹은 풍기 나들목을 나와 36번 국도를 타고 봉화, 불영계곡을 거쳐 가는 방법도 있다. 축제준비위원회 787-1331.코레일관광개발(02-2084-7786)은 대게축제장과 해돋이 명소 월송정, 백암온천 등을 돌아보는 무박 2일 기차여행상품을 판매한다. 27일부터 3월 2일까지 매일 출발한다. 7만 9000~8만 4000원(어른 기준).

→맛집:후포항 대게활어센터의 왕돌회수산(788-4959)에서 대게와 붉은대게찜을 맛볼 수 있다. 매운탕이 곁들여지는데, 주 요리를 뺨칠 만큼 맛있다. 충청도 횟집(783-6651)은 ‘야한’ 우스갯소리를 잘하는 주인장이 개발한 ‘333슬러시 물회’로 입소문난 집이다. 죽변항에 있다. ‘곱새기’는 호인소주방(788-3213) 등에서 맛볼 수 있다. 곱새기가 늘 잡히는 것이 아니어서 먼저 확인한 뒤 방문하는 게 좋다. 후포항 초입에 있다.

→잘 곳:후포항과 죽변항 일대에 깔끔한 모텔들이 늘어서 있다. 울진군 관광포털(www.uljin.go.kr) 참조.

2013-02-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