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22) 영주 순흥면 소수서원 솔숲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22) 영주 순흥면 소수서원 솔숲

입력 2011-03-03 00:00
업데이트 2011-03-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學者樹엔 470성상속 오묘한 생명의 철학이…

알싸했던 겨울의 기억을 붙들어 안은 꽃샘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학교 교정은 아이들의 웃음꽃으로 왁자하다. 겨울방학을 마치고 전국의 모든 학교들이 교문을 열어젖혔다. 아이들의 환한 웃음소리는 봄의 더딘 걸음걸이를 한껏 재우친다. 학교는 언제나 이 땅 이 나라의 희망이다. 옛 사람들에게도 학교가 내일의 희망을 일궈가는 자리였음은 틀림없다. 그래서 선현들은 학교를 짓고 맨 먼저 주변에 나무를 심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에 그런 학교 숲의 원형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솔숲 가운데 하나다.

이미지 확대
서원의 유생들이 쉴 수 있는 솔숲 가장자리의 소혼대에는 늙어 죽은 고사목 한 그루가 옛 사람들의 자취를 기억하고 있다.
서원의 유생들이 쉴 수 있는 솔숲 가장자리의 소혼대에는 늙어 죽은 고사목 한 그루가 옛 사람들의 자취를 기억하고 있다.


소수서원 솔숲에는 오래 전부터 ‘학자수’(學者樹)라는 별명으로 불려 온 소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소수서원 설립 초기에 경내에 심은 1000그루의 소나무 중 우여곡절을 거치고 현재까지 남아 있는 나무들이다. ‘학자수’라는 이름은 처음에 나무를 심을 때부터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소수서원은 470년 전인 서기 1542년(조선 중종 37)에 주세붕(周世鵬, 1494~1554)이 ‘백운동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이다. 이곳은 원래 ‘숙수사’라는 절이 있던 자리여서, 당간지주와 같은 불교 유물을 볼 수도 있다.

주세붕은 허물어진 숙수사 터를 지나다가 언덕 아래로 개울이 흐르는 이곳의 풍광에 마음이 기울어 서원을 세울 자리로 점찍었다. 맞은편 연화봉 기슭에 늘 흰 구름이 머물고 있어서 백운동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유생의 표상’ 현재 150여 그루 자라

1년여에 걸친 공사 끝에 서원은 완공됐으나 건축주인 주세붕의 눈에는 평지인 서원 터의 기운이 약해 보였다. 땅의 기운을 보완하기 위해 그가 선택한 건 나무를 심는 일이었다.

기왕에 심을 나무라면 이곳에서 배움의 길을 닦아 나갈 유생들의 표상이 될 소나무가 좋겠다고 생각한 그는 좋은 소나무를 구해 서원 곳곳에 심었다. 어떠한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학문의 뜻을 굽히지 않는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기 위한 나무로 소나무만 한 건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주세붕이 심은 소나무 가운데 이미 수명을 다해 쓰러진 것도 있지만, 여전히 생명을 이어가는 나무도 있고, 솔숲 안에 떨어진 솔방울에서 저절로 싹을 틔워 자라난 나무들도 있다. 어림잡아 150여 그루의 소나무가 무리지어 있는데, 한눈에 봐도 나무의 수령은 들쭉날쭉해 보인다.

●쓰러지면서도 피해 없게 ‘장엄한 최후’

“나무도 오래 자라면 영험함이 깃드는 생명체라는 생각이 들었던 때가 있어요. 저기 매표소로 들어서면 솔숲에서 가장 오래된 굵은 소나무가 한 그루 있었지요. 비스듬히 서 있어서, 인상적이었던 그 나무가 4년 전 한여름에 쓰러졌어요. 관람객이 유난히 많았던 날이었죠. 쿵 하고 쓰러지는 소리를 듣고 달려갔는데, 놀랍게도 다친 사람이 한명도 없었어요.”

10년째 경내의 문화재를 안내하는 최옥녀씨의 이야기다. 쓰러진 나무는 굵기로 봐서 서원 설립 초기에 심은 500살쯤 된 나무였다. 부러진 줄기 안쪽은 썩어서 텅 비어 있었다. 이미 오래 전에 쓰러져야 했지만 다른 소나무들이 솔숲의 새 주인으로 자라날 때까지 고통의 세월을 견뎌온 것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장엄하게 생을 마친 한 그루의 노송을 바라보았던 최씨는 사람을 다치지 않게 한 것은 나무가 자비의 덕을 가졌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한다.

소나무로만 이루어진 숲 가장자리에는 곧게 뻗어오른 소나무들보다 굵은 줄기로 서 있는 한 그루의 고사목이 있다. 소혼대라는 이름을 가진 낮은 둔덕 위에 서 있는 죽은 나무다.

소혼대는 글공부에 지친 유생들이 머리를 식히던 쉼터로, 이 자리에 줄기가 중동무이된 채 서 있는 고사목은 바로 좋은 그늘을 드리워 주던 정자나무였다.

솔숲이 소나무 특유의 까탈스러움을 갖췄다면, 이 한 그루의 고사목은 오래 전부터 그 곁에서 푸근함을 갖춘 정자나무로 살아 있었다. 이미 오래 전에 이승에서의 삶을 마친 나무이건만 가만히 바라보면, 나무 그늘에 들어서 삶과 학문을 이야기하던 유생들의 옛 모습을 떠오르게 할 만한 기세다. 솔숲 안의 커다란 소나무들처럼 살아 있었다면 500살은 됐음 직한 고사목이다.

“꼭 찾아봐야 할 고사목이 또 있어요. 소수서원에서 후학을 가르치던 이황 선생이 손수 심은 나무랍니다. 이황 선생은 죽계수라고 부르는 개울 건너편을 자주 산책하셨다고 해요. 선생은 자신이 제일 좋아한 곳을 ‘취한대’라 하고 주위에 스물한 그루의 나무를 심었어요. 그중 두 그루가 고사목으로 남은 거죠.”

●이황선생 손수 심은 나무도 고사목으로

하얗게 말라죽은 이황의 고사목은 서원 입구의 경렴정에서 훤히 내다보인다. 이황이 쓴 ‘白雲洞’과 주세붕이 쓴 ‘敬’이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어 ‘경자바위’라고 부르는 큰 바위 바로 옆이다.

스스로를 ‘청량산 지킴이’라고 했을 정도로 자연을 사랑했던 이황 선생은 제자들을 가르치면서도 자연 사랑을 몸소 실천했던 것이다. 솔숲을 일군 주세붕이나, 스물한 그루의 나무를 심은 이황이나 모두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실천으로 보여준 모범적인 큰 스승들이었다.

이황의 고사목을 바라보면서 최씨는 “늙어 죽은 나무이지만, 요즘 사람들이 선현의 자취가 남아 있는 귀한 나무라는 걸 알아봤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소수서원의 솔숲과 나무에는 삶과 죽음이 모두 자연과 더불어 이루어진다는 평범하면서도 오묘한 생명의 철학이 담겨 있다. 숲과 나무가 사람에게 가르쳐 주는 천년의 지혜다.

글 사진 영주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가는 길: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2. 소수서원은 중앙고속국도의 풍기나들목에서 10여㎞ 떨어져 있어서, 수도권에서도 하루 만에 너끈히 다녀올 수 있다. 나들목을 나가서 우회전한 뒤 소수서원까지는 줄곧 직진하면 닿는다. 서원 1㎞ 못미처에서 나오는 사거리에서 한번만 좌회전하면 된다. 갈림길마다 소수서원 방면을 안내하는 이정표가 있으니 어렵지 않게 찾아갈 수 있다.
2011-03-03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