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전고분군서 가야 다라국 장군무덤과 보물급 유물 발굴

옥전고분군서 가야 다라국 장군무덤과 보물급 유물 발굴

강원식 기자
입력 2020-06-18 17:16
업데이트 2020-06-18 17: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귀걸이, 고리자루큰칼은 상태 양호하고 문양 화려해 보물급

가야시대 대표 고분군인 경남 합천군 쌍책면 옥전고분군(사적 제326호)에서 다라국 장군 묘로 추정되는 무덤과 귀걸이 등 보물급 중요 유물이 발굴됐다.
이미지 확대
옥전고분군 4호분 내부 모습과 칼 등 출토 유물
옥전고분군 4호분 내부 모습과 칼 등 출토 유물
합천군은 18일 옥전고분군 발굴현장에서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및 현장공개 행사를 열고 그동안 조사를 통해 나무덧널무덤(木槨墓) 14기와 돌덧널무덤(石槨墓) 4기 등 모두 18기의 무덤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군은 옥전고분군 보존·정비 및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지난 4월부터 (재)한빛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해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한빛문화재연구원은 4호 덧널무덤에서 금귀걸이(金製耳飾) 1쌍, 고리자루큰칼(環頭大刀) 및 큰칼 6점, 말갖춤과 무기류, 토기류 등 다라국을 대표하는 중요 유물을 포함해 다수의 유물이 출토됐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무덤에서 출토된 큰칼 6점과 투구 및 비늘갑옷 등은 무덤주인이 다라국 장군 지위임을 알려주는 유물이라고 한빛문화재연구원은 설명했다.

고리자루큰칼은 봉황문양(單鳳文), 세잎문양(三葉文) 등 문양이 확인됐다.

군은 특히 금귀걸이와 봉황모양 고리자루큰칼은 지난해 12월 보물 제2042호로 지정된 장식고리자루큰칼과 견주어도 될 만큼 상태가 양호하고 문양이 화려하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칼 6점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칼 6점
12호 덧널무덤은 가운데가 긴 장축방향을 따라 돌들이 일렬로 나란하게 놓여 있어 다른 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무덤 구조로 확인됐다.

한빛문화재연구원은 4기의 덧널무덤에서도 말갖춤과 관련된 발걸이(鐙子), 재갈(轡), 말띠드리개(杏葉), 말띠꾸미개(雲珠), 안장(鞍橋), 화살통(盛矢具), 띠고리(鉸具) 등이 확인돼 말갖춤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특히 신라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물고기 꼬리모양 말띠드리개가 출토돼 두 지역간에 교류도 확인할 수 있다.

옥전고분군은 고대 합천에 존재했던 후기가야인 다라국 최고 지배층 무덤이다. 그동안 발굴조사 등을 통해 봉토분 28기를 포함해 121기 유구가 확인됐고 유물 3000여점이 출토됐다. 신라 금동관과 백제 청동합, 일본 갑주, 로마양식 유리용기인 로만글라스 등이 나와 강을 통해 신라·백제·일본 등과 교역했음을 보여 준다.
이미지 확대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갑옷
옥전고분군 4호분에서 출토된 갑옷
옥전고분군은 가야사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되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추진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옥전고분군 정밀발굴조사를 바탕으로 종합정비계획을 세워 차별화 된 가야 역사문화 탐방지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합천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