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 미사 재개, 교구가 알아서’ 천주교주교회의에 무슨 일이

‘성당 미사 재개, 교구가 알아서’ 천주교주교회의에 무슨 일이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3-20 12:53
업데이트 2020-03-20 12: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교회의 춘계 총회, 미사 교구장 재량 맡기기로

지난 19일 점심 시간이 조금 지난 2시쯤 기자들에게 불쑥 전해진 천주교 보도자료 1건. 지난 16일부터 나흘간 열려 이날 폐막한 천주교주교회의(주교회의·의장 김희중 대주교) 춘계 총회 결과였다. 각종 현안 관련 회의 내용이 담겼지만 아무래도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중단해온 성당 미사의 재개 여부와 시점에 먼저 눈길이 쏠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지역 상황에 맞춰 교구장의 재량에 따라 구체적인 미사 재개 날짜를 정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신자들의 영신적 유익을 위해 되도록 이른 시일 안에 미사를 재개할 필요가 있지만, 정부의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역 관리 지침을 존중한다는 주교단의 결집된 뜻을 붙였다. 그러면서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개학일이 4월 6일로 연기된 점을 고려한다고 했다.

주교회의의 결정 내용을 다시 꼼꼼히 들여다봤다. 관례상 선뜻 이해할 수 없는 대목 때문이었다. “교구장의 재량에 따라…”. 온 나라가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차단에 힘을 쏟는 시점에 내려진 뜻?의 ‘방임’ 성격 짙은 결정에 의문이 들었다.

종전 주교회의의 의사결정 관례에 기대어 본다면 이날 주교단은 ‘다음달 6일 성당 미사를 재개한다’는 식의 일괄 지침을 내렸어야 한다. 한국천주교가 원래 교구와 교구장 재량을 이 정도로 중시하고 인정했던가. 지금은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위기로까지 여겨지는 상황 아닌가.

한국천주교에서 주교회의는 가장 권한 있는 최고의 의사결정 기구이다. 주교회의 결의 사항은 웬만하면 전국 16개 교구와 성당들이 모두 따라야만 하는 순명(順命)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진다. 교황을 정점으로 한 교황청이 내리는 사목 지침이며 신행 방향, 교회 운영 방침을 전 세계 교회와 구성원들이 따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날 주교회의의 결정 대로라면 지난 달 25일부터 전국 16개 교구에서 일제히 중단해온 성당 미사는 대략 다음달 6일을 전후해 다시 열리게 될 전망이다. 물론 교구장의 판단과 결정에 따라 조금 앞당겨지거나 미뤄질 수도 있겠다.

앞서 있었던 제주교구의 미사 재개 번복 해프닝이 새삼스럽다. 제주교구는 전국 천주교 교구에서 3주째 중단하고 있는 성당 미사를 지난 17일부터 다시 시작한다고 미리 밝혔었지만 당일인 17일 초저녁 느닷없이 22일까지 미사 중단 연장 사실을 선언했다. 전국 교구 가운데 처음으로 뜬금없이 미사 재개를 선언한 점도 뜻?이었지만, 당일 저녁 부랴부랴 중단 연기 쪽으로 회귀한 것도 선뜻 이해할 수 없었다.

“성당 미사 재개를 교구에 위임한다” 한국 천주교주교회의의 결정은 군대조직처럼 비쳐지는 천주교 의사결정 과정과 실행의 측면에서 한층 발전된 양상임엔 틀림없다. 열린 협의 과정이며 중앙 집중의 권한 분산 차원에서 종전과는 사뭇 달라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19와 관련해 한국천주교가 초기에 보여준 일사분란한 대응과는 조금 달라보인다는 일각의 우려가 기우였으면 좋겠다. 이 땅에서 교회가 시작된 지 236년 만에 처음으로 전국 모든 교구와 성당이 일제히 미사를 중단한다고 전격 결의하고 행동에 나선 한국천주교 아닌가.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