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교 100년… 교헌 개정 진행 중”

“개교 100년… 교헌 개정 진행 중”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2-12 00:30
업데이트 2015-02-12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궁성 원불교 교정원장 인터뷰

“불법(佛法)을 주체로 삼는 원불교가 ‘불생불멸 인과보응’이란 불교 핵심사상을 이 시대에 새롭게 던지고 실천해야 할 책임을 더욱 막중하게 느낍니다.” 원불교 개교 100년을 맞아 11일 서울 중구 정동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만난 남궁성(65) 원불교 교정원장. “사람의 생장주기로 보면 이제 유년기를 지나 청년기로 접어든 셈이라는 민족종교 원불교에 붙는 ‘100년’ 수식어를 들을 때마다 깜짝깜짝 놀라고 긴장하게 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원불교 개교 100년을 맞아 11일 전북 익산 총부에서 상경, 기자들과 만난 남궁성 교정원장. 요즘 ‘물질이 개벽 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교조 소태산 대종사의 개교 동기가 부쩍 가슴에 콕콕 들어박힌다고 말한다.
원불교 개교 100년을 맞아 11일 전북 익산 총부에서 상경, 기자들과 만난 남궁성 교정원장. 요즘 ‘물질이 개벽 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교조 소태산 대종사의 개교 동기가 부쩍 가슴에 콕콕 들어박힌다고 말한다.
“개교 100주년은 내년이지만 창교 햇수로는 올해가 100년입니다. 성업 100년을 준비하는 마지막 해이자 100년을 결산하는 중요한 해이지요.” 국내 신흥종교 중 ‘가장 안정적’이란 평을 받고, 100년간 세계의 종교인들이 눈여겨볼 만큼 괄목할 성장을 이뤄 주목받는 원불교의 지금이 있게 한 원인은 무엇일까. “우선 교조인 소태산 대종사가 세운 교법의 정체성과 사상이 시대의 교시로 훌륭했다고 봅니다. 그다음은 창시자로부터 이어진 제자들이 나를 내려놓고 공(共)을 받드는 무아봉공의 종교정신을 잘 지켜왔기 때문이라고 믿습니다”

그런 평가에도 불구하고 ‘원불교가 정체기로 접어든 게 아니냐’는 질문에 서슴지 않고 답을 돌려준다. “사실 지난 반백년기념대회 이후 교단이 그다지 활성적이지 못해요. 사람도 그렇듯이 성장 단계에서 침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00년을 맞아 정신을 가다듬어 올곧은 사명의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로 받아들이고 있지요.” 그래서 지금 원불교의 헌법인 교헌 개정을 비롯한 내부 개혁작업이 차분히 진행 중이라고 남궁 원장은 귀띔했다. 종단의 최고 어른인 종법사 권한이며 최고의결기관인 수위단의 선출방식, 여성 교무의 결혼 인정이 그 핵심이다. 출가자 중심의 교단 운영에 재가자 참여 폭을 넓히고 초기의 민주적이고 열린 종교 정신을 되살리자는 종도들의 뜻을 결집한 데 따른 것이다.

“원불교는 본디 교단 운영에서 남녀의 성별과 출·재가의 구분이 없어요. 열린 종교의 성격이 역력했는데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다 보니 사상과 문화적 측면에서 오히려 좁아진 것 같아요. 저를 포함해 많은 교도들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 문화와 전통의 간극에 서 있는 청소년층 교화에 신경이 많이 쓰인단다. “종교는 희생과 헌신, 봉사를 큰 덕목으로 삼는데 지금 청소년들은 그런 분위기에서 길러지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그래서 ‘물질이 개벽 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창교자 소태산 대종사의 개교 동기가 100주년을 앞둔 요즘 부쩍 가슴에 와닿는다고 털어놓았다.

“늦어도 내년 대각개교절까지는 교헌 개정을 마무리 지을 수 있을 것”이라는 남궁 원장은 100주년을 맞아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금의 흑석동 서울교구 자리에 2017년까지 12층짜리 ‘소태산기념관’(가칭)을 완공해 원불교 서울시대를 열 것입니다. 라디오 방송에 이어 내년 1월 원불교 TV도 서울 목동에서 개국하게 됩니다.”

글 사진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2-12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