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 스님의 가르침·발자취를 찾아가다

성철 스님의 가르침·발자취를 찾아가다

입력 2013-07-25 00:00
업데이트 2013-07-25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계종 열반 20주기 회고록 ‘이 길의 끝에서’ 출간

평생 ‘부처님 법대로 살자’고 외치며 자신과 후학에게 예외없이 엄격했던 ‘가야산 호랑이’ 성철(1912~1993) 스님. 스님은 전국을 다니며 뼈를 깎는 수행과 정진에 매진했지만 그 수행의 실상은 몇몇 출가자에게만 회자될 뿐 일반인에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길의 끝에서 자유에 이르기를’(조계종출판사 펴냄·작은 사진)은 그런 점에서 흔치 않은 반추의 기록으로 눈길을 끈다.
성철 스님
성철 스님


책은 성철 스님 탄신 100주년과 열반 20주기를 기리며 스님의 발자취를 찾아가는 여정을 담은 책. 2011년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불교신문에 연재된 기사를 백련불교문화재단 이사장 원택 스님이 단행본으로 엮었다. 책의 특징은 성철 스님이 머문 수행도량 25곳을 따라가며 스님이 남긴 유훈과 사상을 세밀하게 들춰보이는 점. 6년간 출가수행자 신분으로 성철 스님을 모신 이진두 불교신문 논설위원과 원택 스님이 성철 스님의 수행처와 관련된 스님들을 직접 만나 풀어낸 인연담이 흥미롭다.

“천제굴은 ‘부처가 될 수 없는 이의 집’이라는 뜻이다. 이미 오도한 성철 스님이 수행처 이름을 천제굴이라 지은 이유가 뭘까. 겸사(謙辭)일까, 아니면 역설일까. 그 이유는 성철 스님만이 알 것이다.”(통영 안정사 천제굴) “성철 스님은 절집 지붕의 기왓장을 벗겨 팔아서라도 승려 교육을 해야 한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 만큼 후학 양성에 원력이 컸다. ‘실달학원’ 설립도 후학 양성의 일환에서 진행된 것이다. 청담 스님도 승려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절감했던 터라 이심전심으로 의기투합할 수 있었다.”(서울 삼각산 도선사)

안정사 천제굴의 명칭과 도선사 청담 스님과의 인연담 말고도 성철 스님이 영천 은해사 운부암에서 평생 도반 향곡 스님을 만난 이야기며, 속리산 법주사 복천암에서 공양주를 자원한 일화도 눈길을 끈다. 스님이 주석하며 수행했던 공간들과 그 속에 담긴 흔적들마저 차차 사라져 가고 있는 현실. 책을 읽다 보면 걸망을 지고, 들길 산길을 헐떡이며 넘어지고 미끄러지며 터벅터벅 한 걸음 또 한 걸음을 걸어서 갔을 그 길과 수행처들이 또렷하게 살아난다.

성철 스님을 20여년간 시봉했던 원택 스님은 “성철 스님 탄신 100주년을 기념해 찾아 나선 길이기에 이 시대에 성철 스님이 남기신 가르침의 의의가 무엇인지 가슴 깊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성철 스님이 남기신 가르침을 지남(指南) 삼아 후학들은 그 어떤 고난에도 굴하지 않고 깨달음의 길을 걸어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7-25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