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가 가해자 될 수 있는 아파트, 그 이웃

서로가 가해자 될 수 있는 아파트, 그 이웃

이슬기 기자
입력 2020-11-05 20:36
업데이트 2020-11-06 03: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해자들
정소현 지음
현대문학/152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아파트에서 칼부림이 발생했다. 사람들은 모두 작은 소리에도 민감해하며 보복소음을 불사했던 1111호 여자를 가해자로 지목한다. 그러나 칼을 든 이는 1111호와 끊임없이 얼굴을 붉히던 1112호 여자였고, 그 칼에 맞은 사람은 시험공부를 하러 친척집에 와 있던 1212호네 조카다.

정소현 작가의 소설 ‘가해자들’은 현대인들의 유일한 안식처이자 바람 잘 날 없는 공간인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호러 서사’ 같다. 근데 한 집 한 집 뜯어보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봤음 직한 일들이다. 사람들이 유난스럽다며 손가락질하는 1111호 여자는 힘들게 재혼 가정을 꾸린 처지였다. 싹싹한 아내와 엄마, 며느리로서의 역할에 충실했지만 “너를 믿을 수 없다”는 시어머니의 날 선 눈초리에 여자는 아이를 낳은 지 8년 세월이 지나 느닷없이 ‘산후풍’에 걸린다. 냉장고 냉기에도 극심한 한기를 느끼고, 소리에 예민한 여자는 소음의 발원지인 윗집을 저주한다. 1211호는 생전 시어머니와 절친한 사이이기도 했다.

한편 옆집 여자도 오래 거주한 자신의 집에서 언제부터인가 미세한 소음을 감지한다. 그 소리가 위층 소음에 대응하는 1111호의 보복소음인 것을 알고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그러다 결국 화살은 서로를 겨냥하게 되고 1112호는 평온한 일상을 잃고 공격적인 성향으로 돌변하게 된다.

집에 머무는 여자들의 아우성에 대응하는 건 남성들의 무심함이다. 층간소음 문제로 옆집과 걷잡을 수 없는 갈등 상황에 치닫지만 남편들은 방관자에 가깝다.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서로 만나서는 술 한잔에 호형호제하며 곧 아내들이 예민하다고 치부하고 넘겨 버린다.

소설이 먼저 드러내는 건 서로가 서로의 가해자가 되는 살풍경한 이웃 사회지만, 이해와 공감이 사라진 가정이 문제의 기저 원인이라는 생각도 든다. 인물들의 속내를 가감 없이 보여 주는 대사들, 속도감 있는 필치로 가독성이 뛰어난 소설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11-0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