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대요”… 교회 내 여혐 투쟁기

“여자는 목사가 될 수 없대요”… 교회 내 여혐 투쟁기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09-03 17:36
업데이트 2020-09-04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니네 교회도 그래요?/이민지 지음/들녘/232쪽/1만 4000원

이미지 확대
민소매를 입었다고 “야한 옷을 입지 말라”는 핀잔에 “조신하게 행동하라”는 잔소리가 따른다. 너무 화려하지도 추레하지도 않은 몸가짐으로 친절해야 한다는 지침서까지 만들었다. “기저귀 찬 여자가 강단에 서는 건 안 된다”는 설교도 나왔다.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르는 것만큼 당연하게 이어져 온 교회의 모습들을 페미니즘으로 바라보면 그것은 명백한 차별과 혐오였다.

2015년 이후 ‘페미니즘 리부트’가 본격화했지만, 교회 안에선 여성 혐오에 대한 작은 문제 제기가 쉽지만은 않았다.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는 불순한 신앙으로 치부되는 탓이다.

●‘페미 사각지대’ 교회 뿌리 깊은 여성상 꼬집어

‘언니네 교회도 그래요?’는 변화를 요구하는 ‘교회 여성’들의 목소리를 전한다. 책은 교회가 2000년 전 일인 성경 속 구절을 사회 가치관에 짜맞춰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굳히고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혐오를 심었다고 지적한다.

이브가 아담의 뼈로 만들었고 여성이 선악과를 땄다는 점을 토대로, 교회에선 남성이 주도권을 쥐고 여성은 보조·조력자로서 순종하는 구도가 자연스럽게 오랫동안 이어졌다. 특히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고전 14:34)는 구절을 두고 1934년 장로회 총회 정치부는 ‘여성은 교회에서 가르치지 말라’고 못박았다. 그러나 책은, 신약 속 유니아, 뵈뵈, 브리스길라 등 많은 여성들이 선지자, 교사 등으로 바울의 동역자였다고 설명한다.

●변화 주도하는 ‘믿는 페미니스트’ 발현이 희망

교회가 아주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교회 안에서 공부모임 등으로 기성 교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믿는 페미니스트’가 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이상 피할 수 없는 당연한 움직임이라고도 봤다. 네 개 복음서에 여성은 633번 언급되고 예수는 여성을 부활의 증인으로 삼은 것 등을 들어, “ 여성에게 가혹했던 당대에도 정작 예수는 여성을 하나의 인격과 주체로 대하고 남녀의 동등함을 설파했다는 점을 되새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09-04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