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북한의 실경산수화에 빠져 볼까

조선 후기 북한의 실경산수화에 빠져 볼까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3-02 17:56
업데이트 2020-03-03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명승지 도록 발간

이미지 확대
‘관서십경도’ 중 의주 통군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관서십경도’ 중 의주 통군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근대기 촬영된 의주 통군정 원경 유리건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근대기 촬영된 의주 통군정 원경 유리건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관서십경도’(19세기·작자미상)는 평안도 지역의 명승 10곳을 그려 모은 병풍이다. 안주 백상루, 평양 부벽루, 의주 통군정 등 이름난 누정(樓亭)과 주변 풍경이 그려져 있다. 지금으로선 가볼 수 없는 북한 지역의 실경산수화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를 모은 도록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2’를 발간했다. 박물관은 1991년부터 소장 서화작품을 정리하기 위해 매년 한국서화도록을 제작해 왔다. 앞서 금강산의 실경산수화를 집중 소개하는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1’을 낸 데 이어 이번엔 금강산 이외의 한양, 단양, 평양, 함흥 등 전국의 명승지를 그린 18~19세기 실경산수화를 수록했다.

경북 구미와 안동을 비롯한 낙동강 상류의 명승지 8곳을 그린 19세기 실경산수화 ‘산수팔경도’에서는 오늘날 남아 있지 않은 노자정(亭) 등의 옛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지역 실경산수화도 6건이 수록돼 있다. ‘관서십경도’를 비롯해 함경도의 명승 10곳을 그린 ‘관북십승도’, 평양과 주변의 명승을 그린 ‘서경명승첩’과 황해도 해주의 명승지 부용당을 그린 ‘부용당도’ 등이다. 특히 ‘부용당도’는 황해도의 중심 도시 해주의 실경을 포착한 매우 드문 실경산수화다. ‘관북십승도’에 실린 갑산에서 바라본 백두산은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가운데 눈 덮인 백두산과 천지를 그린 몇 안 되는 작품이다.

북한 지역 실경산수화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과 비교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띈다. 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3-03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