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고치다 삶까지 수리됐습니다

집 고치다 삶까지 수리됐습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8-29 18:10
업데이트 2019-08-30 0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리수리 집수리/김재관 지음/문학동네/408쪽/1만 9800원

이미지 확대
“요즘 어찌 지내시는지요?” “집수리를 합니다.” “아니 어쩌다 그런 일을.”

한 건축평론가와 김재관 건축가의 대화. 평론가 눈에는 그가 딱해 보였나 보다. 건축가가 ‘집수리’나 하고 있다니. 건축가란 근사하게 설계하고 가끔 현장에 나와 둘러보는 이들 아니던가. 집수리는 이른바 ‘업자’들이나 하는 일이고.

김 건축가 신간 ‘수리수리 집수리’는 묘한 책이다. 김 건축가가 해머를 들고, 실리콘 총을 들고, 페인트 롤러를 들고 제목을 표현한 표지부터 범상찮다. 건축가가 알려 주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방법이 들었나 싶은데 그렇지도 않다. 책은 저자가 2008년 율리아네 집수리에 뛰어든 뒤 김 교수네, 철민이네, 예진이네, 이상집 다섯 곳의 집수리 이야기 모음집이다.

집수리를 맡긴 이들부터 심상찮다. 행사 도중 무작정 김 건축가를 찾아와 노란 공책을 내밀고 집을 수리해 달라는 율리아, “알아서 잘해 달라”는 말만 하는 김 교수, 유명 사립대 교수로 있다가 돌연 파주에 가서 타이포그래피 학교를 세운 날개 등. 동네 주민도 기괴하기 짝이 없다. 허락 없이 새벽에 남의 집 분재를 깎아 놓고 흡족해하는 보험 아저씨, 황장엽의 친척이라며 남의 집 벽체 두께에 관한 훈수를 두는 이, 민원대장 영화씨, 무작정 주차금지 표지판을 내건 동네 할아버지 등.

현장 인부 이야기는 이 가운데 백미다. 붙임성 좋고 자기 자랑 잘 늘어놓는 일흔둘 페인트공 송씨는 나이가 무색하게 현장 인부들과 치고받는다. 저자는 그런 그가 ‘풍신수길’(도요토미 히데요시)을 닮았다 하여 ‘풍신’이라는 별명을 붙여 준다. 교통사고로 딸을 잃은 서 반장은 “따님은 어떠냐?”는 물음에 아무렇지도 않은 듯 “인명은 재천”이라고 답한다. 딸이 죽은 다음날도 어김없이 현장에 나와 작업 벨트를 허리에 차고 일회용 커피를 마신다. 왠지 모질어 보이는 그에게 “술 한잔하자”고 제안하니, “술 마시면 울 것 같아 마실 수 없다”고 답한다. 역시나 그도 아버지였다.

정상적인 이들일지라도 특징을 잡아 요리조리 비틀어 표현하는 저자의 글 솜씨만큼 집수리 실력 역시 빼어나다. 사람들 이야기에 킬킬거리다 마주하는 집수리 완료 후 사진들은 “집의 수리는 삶을 수리하는 것”이라는 저자의 철학을 그대로 담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8-30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