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베트남’ 아니고 ‘비엣남’

[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베트남’ 아니고 ‘비엣남’

입력 2019-07-11 17:34
업데이트 2019-07-12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전이 있는 베트남사/권재원 지음/다른/168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한 남성이 베트남인 아내를 폭행한 동영상이 공분을 사고 있다. 한국뿐 아니라 베트남에도 알려지면서 일고 있는 반한 감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박항서 감독이 올려놓은 한국 이미지를 다 까먹는다’는 농담 아닌 농담도 여러 곳에서 들린다.

베트남전쟁 상흔은 애써 묻어두고, 한국과 베트남은 최근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물자 교류가 늘었고, 사람들의 왕래는 그보다 더 빠르게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는 베트남을 잘 모른다. 낮게 깔아보는 눈길도 여전하다.

‘반전이 있는 베트남사’는 이런 편견을 깨기 위한 작은 시도와도 같은 책이다. 현재 베트남 인구 86%가량을 차지하는 비엣족의 뿌리인 반랑 왕국 등장부터 남북으로 분열했던 최근 역사까지 핵심만 정리하며 베트남이 어떤 나라인가를 충실하게 정리한다.

책에 따르면, 우리는 나라 이름부터 잘못 알고 있다. “베트남”이라 하면 베트남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한다. 정확한 나라 이름은 ‘비엣남’이다. ‘비엣’은 한자 월(越), ‘남’은 한자 남(南)의 베트남식 발음이다. 베트남은 일본식 발음이라 한다. 자기 나라 이름을 마음대로 바꾸니 베트남 사람들이 이 표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베트남은 오랫동안 외침을 겪었다. 기원전 110년쯤 이미 중국 한나라 무제의 외침으로 시작해, 근현대에 들어와서는 프랑스의 오랜 식민지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독립전쟁도 시시때때로 일어났다. 강대국의 침략은 기어이 물리쳤지만, 든든하게 통치기반을 이어 간 왕조는 없었다. 그만큼 내전이 잦았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베트남 사람들을 호전적이고 배타적이라고 단언하면 안 된다. 과거 자국을 침략해 살상과 약탈을 해 간 미국, 프랑스, 일본, 심지어 한국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감정을 갖고 인적, 물적 교류를 늘려 나가는 호의적이며 개방적인 나라가 바로 베트남이다. 다만 중국과는 이런저런 얽힌 역사가 많아 아직도 냉랭하다.

한국과 중첩되는 역사도 있다. 1919년 호찌민은 베트남 독립을 요청하려고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했지만, 프랑스의 방해로 쫓겨났다. 이 회의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규식, 조소앙도 참석했지만 역시 같은 이유로 쫓겨난다. 이들은 회담장 밖에서 교류하며 독립 의지를 다졌다고 한다. 사시사철 베트남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 늘었다. 호찌민이나 하노이도 좋다. 최근 주목받는 다낭도 좋다. 가기 전에 베트남 역사 한 번쯤을 훑고 가면 어떨까. 베트남 사람들에게 베트남이 아닌 “비엣남”이라고 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

2019-07-12 3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