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 탈출의 길

백범, 탈출의 길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7-04 23:34
업데이트 2019-07-05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범의 길-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상·하/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지음/아르테/364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의 윤봉길 의거 직후, 일제는 상하이 내 독립운동가 색출 작업에 나선다. 윤봉길 의거 주동자 백범 김구에게 당시 돈 60만원의 현상금을 내건다. 지금 기준으로 190억여원 정도다. 백범 일행은 의거 직후 미국인 목사 조지 애시모어 피치의 집으로 피신해 20여일을 보낸다. 일본인으로 보이는 정탐꾼이 피치 부부 집에 다녀가자 백범은 상하이 탈출을 결심한다. 당시 급박한 순간들에 관해서는 ‘백범일지’에 상세히 나오지만, 이후 탈출 경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신간 ‘백범의 길-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는 백범의 상하이 탈출 경로를 생생하게 복원했다. 도진순 창원대 교수가 쓴 ‘생사기로에서의 국제 연대-피치 부부와 김구, 피신과 탈출 루트’에 따르면, 제럴딘 부인의 긴급한 전화를 받은 피치 목사는 백범 일행을 태우고 샤페이로와 바오젠로를 거쳐 베이당로로 향한다. 이후 쉬자후이 개천을 따라서 난 길로 동쪽으로 가다가 인도교에서 내린다. 이후 신룽화역에서 기차를 타고 자싱으로 향한다. 도 교수는 ‘백범일지’와 애시모어가 남긴 회고록, 부인 제럴딘의 글 ‘아무도 모르는 한국 지도자´를 토대로 직접 현지를 답사해 밝혀냈다.

책은 도 교수를 포함해 한중 역사학자와 전문가 11명이 백범의 중국 발자취를 직접 답사해 복원한 노정이다. 철저한 고증을 거치고, 특히 현재와 과거 모습을 비교해 보기 쉽도록 했다. 예컨대 백범의 상하이 탈출 루트에 나온 샤페이로는 현재 화이하이중로로, 바오젠로는 바오칭로로, 베이당로는 헝산로로 이름이 바뀌었다. 책은 앞서 지난해 출간한 ‘백범의 길-조국의 산하를 걷다´에 이어 나온 두 번째 결과물이다. 상하이에서 충칭까지 27년 동안 여러 도시를 거치며 걸었던 5000㎞의 대장정을 꼼꼼하게 구성했다. 이번 기획에 관해 저자들이 서문에서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탄생 100주년, 백범 서거 70주기를 맞아 준비한 여러 기획물 중 이만한 저작물이 드물 거라 자부한다”고 할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7-05 3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