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여성들이여, 함께 힘 키울 우먼소셜클럽 구축하라”

“2030 여성들이여, 함께 힘 키울 우먼소셜클럽 구축하라”

이슬기 기자
입력 2019-04-15 23:12
업데이트 2019-04-16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진아 에세이집 ‘나는 내 파이…’ 출간

여자라는 이유로 인사 불이익 겪으며
대기업 카피라이터 10년차에 사표 내
2017년 여성들과 고민 나눌 카페 오픈
페미니즘 눈뜨는 과정 솔직하게 그려
이미지 확대
김진아 울프소셜클럽 대표
김진아 울프소셜클럽 대표
“관성적으로 때가 되면 결혼을 하고, 결혼했으니까 아이를 낳고…. 이런 것 자체에 여자들이 의문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결혼은 개인이 저항할 수 없는 구속력과 강제력을 가진 제도에요. 거기에 휩쓸려 들어가게 되면 아무리 강성 페미니스트도 ‘나만 혼자 초인처럼 나만의 길을 가겠다’가 안 되거든요.”

‘언니 페미니스트’ 김진아(44) 울프소셜클럽 대표는 최근 에세이집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바다출판사)를 출간했다. 남들 따라 결혼했다 2년 만에 이혼하고, 퇴사 후 의지가지할 곳 없는 자영업자, 프리랜서가 되면서 페미니즘에 눈뜨게 되는 과정을 솔직하게 그린 책이다.

대기업 광고대행사의 잘 나가는 카피라이터였던 김 대표는 2010년, 회사 생활 10년차에 사표를 냈다. 최연소 팀장 자리에 오르며 승승장구했지만, 스스로가 전임 여자 팀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으며, 경영진이 마음 놓고 부릴 ‘새로운 하녀’가 아니었음이 드러나 인사 불이익을 당하자 내린 결정이었다. 이후 경리단길에 차린 LP바는 젠트리피케이션 직격탄을 맞고, 광고업계 불황으로 가끔 들어오던 일거리도 끊겼다.

“경력이 많으니까 몸값이 무겁고, 자리가 안 나더라고요. 이런 상황이 나만의 얘기가 아닐텐데, 다른 여자분들하고 터놓고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게 2017년 3월,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카페 ‘울프소셜클럽’을 열었다. 울프소셜클럽은 여성들이 모여 여러 사회 이슈에 대해 토론을 벌이고, 다양한 분야의 여성 프리랜서들이 만나 서로의 네트워크를 조직하는 페미니즘 공간으로 기능한다. 김 대표는 그해 우리나라 ‘펨버타이징’(페미니즘과 광고의 합성어)의 시초로 평가받는 화장품 브랜드 ‘아이소이’의 광고를 만들기도 했다.

퇴사를 고민하는 비슷한 상황의 후배가 있다면 “복식호흡을 하면서 잠깐 생각을 가다듬어보자”고 말하고 싶다는 김 대표. 안전망이 없는 회사 밖의 생활이 여자에게 얼마나 가혹한지 경험해 봤기 때문이란다. 그는 사회 초년생인 ‘2030’ 여성들에게 “보이즈클럽에 맞서는 우먼소셜클럽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회사에서 일할 때, 여자들끼리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어서 동료라는 생각을 잘 못했어요. 저 스스로도 지금의 40대, 50대 선배 여성들이 준거 집단이 아니었던 거죠. 그러나 시대가 바뀌었고 지금 2030 여성들은 개개인의 발전, 변화 가능성을 믿고 결혼 유무, 아이 유무 등을 떠나서 서로를 믿는 훈련을 할 수 있어요. 남자들은 사우나 가고, 등산 가면서 서로 힘을 키우잖아요. 우리도 축구가 어려우면 같이 줄다리기랄지, 닭싸움이라도 하는 거예요.” 마지막으로 ‘탈혼한 선배 페미니스트’는 “‘원룸 탈출’은 결혼으로 말고, 꾸밈 노동에 들어가는 돈을 모아서 하라”고 일갈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9-04-16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