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활자마다 박힌 아픈 기억들…그래도 읽어야 치유됩니다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활자마다 박힌 아픈 기억들…그래도 읽어야 치유됩니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4-11 23:16
업데이트 2019-04-12 0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혁이의 장례를 치른 뒤 방에 누워만 지내던 엄마. 사고 전 아들이 입었던 후드티가 장롱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 냅니다. 그리고 머리카락 여덟 올을 찾아냅니다. 행여나 잃어버릴까 4개씩 나눠 코팅했습니다. 그리고 가끔 아들이 생각날 때마다 머리카락을 만집니다. “만질 수 있는 게 이것밖에 없다”는 구절에 목이 막히고 눈이 뜨거워집니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 57명의 이야기를 담은 신간 ‘그날이 우리의 창을 두드렸다’(창비)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이미지 확대
선감학원 피해 생존자의 이야기를 구술한 ‘아무도 내게 꿈을 묻지 않았다’(오월의봄)도 가슴 먹먹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선감학원은 부랑 아동을 보호, 수용하겠다며 일제강점기인 1942년 설립해 1982년까지 장장 40년 동안 운영됐습니다. 그러나 취지와 달리 마구잡이로 아이를 끌고 갔습니다. 잡혀간 아이들은 인간 이하로 취급받았습니다. 각종 노역과 폭력에 인생을 송두리째 빼앗겼습니다. 동생을 기다리다 끌려간 김춘근씨, 가족이 있었지만, 그저 방황한다는 이유로 잡혀가 고아가 돼 버린 오광석씨 등 9명의 이야기가 담겼습니다.

잘못된 과거사를 다룬 신간들이 눈에 띕니다. 누군가가 겪은 아픔을 읽는 일은 고통스럽습니다. 활자 하나하나가 바늘 같고, 칼 같습니다. 이런 책은 그래서 많이 팔리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많이 읽고, 많이 반성하고, 제대로 고칠 수 있게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0분에서 1시간 정도면 다 읽는 일회용 에세이가 베스트셀러를 차지한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이런 책 대신 아픈 과거를 다룬 책을 더 권하고자 합니다. 이런 책을 읽는 일이 그들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여러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gjkim@seoul.co.kr
2019-04-12 3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