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의 벚꽃 한일역사여행/다케쿠니 도모야스 지음/이애옥 옮김/논형/312쪽/1만 8000원
바야흐로 벚꽃의 계절이다. ‘벚꽃’ 하면 자연스레 진해 군항제를 떠올릴 법하다. 도심 곳곳은 벚꽃으로 가득하고, 아치를 그린 벚꽃 터널을 지나는 이들의 웃음도 벚꽃만큼이나 화사하다. 경남 창원시 진해구 벚꽃은 무려 36만그루에 이른다. 군항제에 맞춰 진해를 방문하는 이는 300만명이 넘는다.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이 많은 벚꽃, 도대체 누가 언제부터 심은 것일까.
●진해 군항제 방문한 日 학원 강사의 집요한 추적
일본의 한 대입학원 강사인 다케쿠니 도모야스는 1992년 진해를 방문했다. 그는 당시 한국의 군항제 안내 소책자에서 ‘벚나무 유래’를 읽었다. 일제가 한국을 침략해 군항을 건설하고, 도시 미화를 위해 벚나무를 심었다. 해방 직후 벚꽃이 일본의 국화라고 생각한 시민이 이를 일제 잔재로 여겨 많이 베어냈다. 1976년 4월 진해를 세계 제일의 벚꽃 도시로 육성하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 이후 민·관·군이 일체가 돼 벚나무 심기 운동을 전개해 지금에 이르렀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 설명은 사실일까. 당일치기 여행에서 생긴 궁금증은 그를 7년간의 치열한 연구로 이끈다. 그는 그동안 연구를 묶은 책을 일본에서 낸다. 신간 ‘진해의 벚꽃’은 20년 만에 나온 한국어판이다.
저자는 진해 역사를 연구하고자 한국 책을 구해 읽고, 한국 향토연구가의 안내를 받아 곳곳을 다닌다. 일본교과서인 ‘상설일본사’에서 1510년 일어난 ‘삼포왜란’을 찾고, 일본의 침략 현장이 남긴 진해구 성내동 웅천현성을 찾아본다. 이어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과 이순신의 전투까지 흔적을 쫓아간다.
●日 ‘해군의 휘장’ 상징으로 심은 벚꽃
진해는 러일전쟁 때 다시 주목 받는다. 러시아 남하를 우려한 일본이 1904년 2월 진해만을 점령하고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한다. ‘진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도 이즈음이라는 사실도 찾아낸다. 조선시대에는 ‘웅천현’이었지만 1912년 조선총독부 행정 개편에 따라 ‘마산부 진해면’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일본은 요코스카, 구레와 같은 군항 형태로 진해의 도시화를 추진한다. 저자는 이와 관련해 1911년 자료에서 일본이 ‘해군의 휘장’을 상징하고자 진해에 벚꽃을 심었다는 사실도 발견한다. 벚꽃이 왜 일본을 상징하게 됐는지도 함께 밝힌다. 세계 2차대전 말기 일본이 자살특공대 ‘가미카제’를 미화하고자 ‘꽃처럼 아름다운 죽음’이라는 이미지를 붙이면서다.
이런 이유로 해방 이후 진해의 벚꽃은 거의 다 잘렸지만, 1960년대 당시 진해시가 ‘우리나라 자생종인 제주산 왕벚나무를 다시 한 번 심어 진해를 벚꽃의 명소로 만들자’는 계획을 발표하며 다시 진해에 벚꽃이 심어진다. 저자는 편개수 씨를 비롯한 재일동포들이 1966년 11월 1만그루를 보내는 등 모두 5만 9300그루의 묘목이 심어진 사실을 발견한다.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진행됐다는 내용에 관한 반박이다.
●“제주산 왕벚나무, 제주 자생 아냐” 주장
진해를 가득 채운 ‘제주산 왕벚나무’에 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일본 학명으로 ‘소메이요시노’로 불리는 이 나무 원산지가 제주라는 주장을 한 이는 일본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다. 한국 임업연구원이 당시 이 내용을 단지 일본 학자가 주장한다고 비판 없이 받아들이면서 마치 사실인 것처럼 통용됐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열매를 잘 맺지 않는 품종인 점, 그리고 일본 ‘에도히간’과 ‘오시마자쿠라’의 교배종에 가깝다는 주장이 있다. 한국에서도 이후 추가 연구해 제주 토종이 아닌 ‘야마자쿠라’와 ‘미야마자쿠라’의 교배종임을 거의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진해 군항제의 벚꽃에 관한 진실은 이렇게 모두 뒤틀린다.
저자는 당일치기 여행에서 호기심을 해결하려 직접 발로 뛰고, 사람들을 만나고, 상당한 자료를 찾아 우리도 잘 몰랐던 사실을 추론해낸다. 예컨대 과거 진해 중심부인 중원로터리에는 둘레가 9m에 이르는 거대한 팽나무가 있었다. 주민들은 이 나무를 수호신처럼 여겼다. 저자는 1911년 일본 임시건축부가 남긴 문서를 토대로 “임시건축부가 팽나무를 ‘정신적인 중심´(토포스·그리스어로 ‘장소’라는 뜻)으로 파악한 것 같다. 도시 건설은 조선 토지 고유의 토포스를 계승하고 일본적인 이름을 붙여가며 군항도시 진해를 만들었다”고 도시계획을 설명한다.
저자의 이런 역사 연구는 가히 놀라울 지경이다. 20년 전 이처럼 철저한 고증으로 진해의 역사를 재구성했지만, 20년 후의 우리는 별반 진척이 없는 듯해 아쉬울 따름이다. 그가 20년 전에 찾은 내용을 우리는 과연 반박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니 등골이 오싹해진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중원로터리를 중심으로 한 1910년대 진해 시가지 모습. 가운데에 지금은 말라 죽고 없어진 거대한 팽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논형 제공
논형 제공
●진해 군항제 방문한 日 학원 강사의 집요한 추적
일본의 한 대입학원 강사인 다케쿠니 도모야스는 1992년 진해를 방문했다. 그는 당시 한국의 군항제 안내 소책자에서 ‘벚나무 유래’를 읽었다. 일제가 한국을 침략해 군항을 건설하고, 도시 미화를 위해 벚나무를 심었다. 해방 직후 벚꽃이 일본의 국화라고 생각한 시민이 이를 일제 잔재로 여겨 많이 베어냈다. 1976년 4월 진해를 세계 제일의 벚꽃 도시로 육성하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 이후 민·관·군이 일체가 돼 벚나무 심기 운동을 전개해 지금에 이르렀다는 내용이다.
저자는 진해 역사를 연구하고자 한국 책을 구해 읽고, 한국 향토연구가의 안내를 받아 곳곳을 다닌다. 일본교과서인 ‘상설일본사’에서 1510년 일어난 ‘삼포왜란’을 찾고, 일본의 침략 현장이 남긴 진해구 성내동 웅천현성을 찾아본다. 이어 159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과 이순신의 전투까지 흔적을 쫓아간다.
●日 ‘해군의 휘장’ 상징으로 심은 벚꽃
진해는 러일전쟁 때 다시 주목 받는다. 러시아 남하를 우려한 일본이 1904년 2월 진해만을 점령하고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한다. ‘진해’라는 이름이 생겨난 것도 이즈음이라는 사실도 찾아낸다. 조선시대에는 ‘웅천현’이었지만 1912년 조선총독부 행정 개편에 따라 ‘마산부 진해면’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일본은 요코스카, 구레와 같은 군항 형태로 진해의 도시화를 추진한다. 저자는 이와 관련해 1911년 자료에서 일본이 ‘해군의 휘장’을 상징하고자 진해에 벚꽃을 심었다는 사실도 발견한다. 벚꽃이 왜 일본을 상징하게 됐는지도 함께 밝힌다. 세계 2차대전 말기 일본이 자살특공대 ‘가미카제’를 미화하고자 ‘꽃처럼 아름다운 죽음’이라는 이미지를 붙이면서다.
이런 이유로 해방 이후 진해의 벚꽃은 거의 다 잘렸지만, 1960년대 당시 진해시가 ‘우리나라 자생종인 제주산 왕벚나무를 다시 한 번 심어 진해를 벚꽃의 명소로 만들자’는 계획을 발표하며 다시 진해에 벚꽃이 심어진다. 저자는 편개수 씨를 비롯한 재일동포들이 1966년 11월 1만그루를 보내는 등 모두 5만 9300그루의 묘목이 심어진 사실을 발견한다. 1976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진행됐다는 내용에 관한 반박이다.
●“제주산 왕벚나무, 제주 자생 아냐” 주장
진해를 가득 채운 ‘제주산 왕벚나무’에 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일본 학명으로 ‘소메이요시노’로 불리는 이 나무 원산지가 제주라는 주장을 한 이는 일본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다. 한국 임업연구원이 당시 이 내용을 단지 일본 학자가 주장한다고 비판 없이 받아들이면서 마치 사실인 것처럼 통용됐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열매를 잘 맺지 않는 품종인 점, 그리고 일본 ‘에도히간’과 ‘오시마자쿠라’의 교배종에 가깝다는 주장이 있다. 한국에서도 이후 추가 연구해 제주 토종이 아닌 ‘야마자쿠라’와 ‘미야마자쿠라’의 교배종임을 거의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던 진해 군항제의 벚꽃에 관한 진실은 이렇게 모두 뒤틀린다.
저자는 당일치기 여행에서 호기심을 해결하려 직접 발로 뛰고, 사람들을 만나고, 상당한 자료를 찾아 우리도 잘 몰랐던 사실을 추론해낸다. 예컨대 과거 진해 중심부인 중원로터리에는 둘레가 9m에 이르는 거대한 팽나무가 있었다. 주민들은 이 나무를 수호신처럼 여겼다. 저자는 1911년 일본 임시건축부가 남긴 문서를 토대로 “임시건축부가 팽나무를 ‘정신적인 중심´(토포스·그리스어로 ‘장소’라는 뜻)으로 파악한 것 같다. 도시 건설은 조선 토지 고유의 토포스를 계승하고 일본적인 이름을 붙여가며 군항도시 진해를 만들었다”고 도시계획을 설명한다.
저자의 이런 역사 연구는 가히 놀라울 지경이다. 20년 전 이처럼 철저한 고증으로 진해의 역사를 재구성했지만, 20년 후의 우리는 별반 진척이 없는 듯해 아쉬울 따름이다. 그가 20년 전에 찾은 내용을 우리는 과연 반박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니 등골이 오싹해진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4-05 3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