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가는 우리말 되살려… 그 아름다움 느껴보길”

“사라져가는 우리말 되살려… 그 아름다움 느껴보길”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7-17 22:20
업데이트 2018-07-18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성동 작가 27년 만에 장편 ‘국수’ 완간

구도에 목말라 방황하는 젊은 수도승의 행적을 그린 소설 ‘만다라’로 잘 알려진 김성동(71) 작가가 장편 ‘국수’(國手·솔출판사)를 완간했다. 1991년 한 일간지에 연재를 시작한 이후 27년 만이다. 오랜 시간 혼신의 힘을 다해 공들여 완성한 작품에 대한 작가의 감회는 남달랐다.
이미지 확대
김성동 작가
김성동 작가
김 작가는 “6권으로 구성된 책 중 마지막 책인 6권은 ‘국수’에 사용된 단어를 정리한 ‘국수사전’인데, 현재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되살리는 데 힘쓴 내게 무엇보다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국수’는 1890년대 전후 충남 내포 지역(현재 예산, 보령, 덕산 등)을 배경으로 각 분야에서 최고의 경지에 오른 예인들이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이야기다. 바둑에 뛰어난 재능을 지닌 소년 김석규와 김석규네 집안의 노비 자식으로 태어나 명화적(조선시대 횃불을 들고 약탈을 일삼던 도적의 무리)이 되는 천만동, 김석규에게 바둑을 통해 도(道)에 이르는 길을 일러주는 백산노장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던 조선의 ‘무명씨’들을 불러냈다.

특히 김 작가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충청도 사투리를 감칠맛 나게 살려 토속적인 정취를 살렸다. 김 작가는 “남북에서 출간된 역사 소설을 보면서 언어의 문제로 절망감을 느낀 적이 많았다”면서 “20~21세기의 언어로 18~19세기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사실 가짜나 다름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름지기 시대와 계급을 반영하는 것이 언어인데, 농민을 비롯한 각 계층이 사용하던 그 시대의 언어로 이야기를 해야 당대의 풍속과 풍습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소설에서 언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김 작가는 점점 생활 속에서 사라져 가는 우리 고유의 말에 대한 관심도 당부했다. “흔히 ‘처녀’, ‘총각’이라는 말을 많이 쓰지만 한자에서 온 말이에요. 우리말로 하면 ‘꽃두레’, ‘꽃두루’라고 하죠. 꽃에 둘러싸일 정도로 아름다운 시절이라는 뜻입니다. 정말 아름답지 않습니까. 평소에도 한문투의 말을 많이 쓰는데 제 책을 통해서나마 조금이라도 우리나라 언어의 아름다움을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7-1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