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 사람·도시의 역사 공존하는 ‘기억 공간’

동물원, 사람·도시의 역사 공존하는 ‘기억 공간’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6-08-19 17:38
업데이트 2016-08-20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물원 기행/나디아 허 지음/남혜선 옮김/어크로스/408쪽/1만 7000원

한국에서 동물원의 역사를 연 곳은 창경원이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09년 창경궁이 ‘창경원’으로 격하될 때 함께 진행됐던 문화 말살 정책의 아픈 사례였다. 이 탓에 ‘창경원=동물원’이란 부끄러운 인식이 광범위하게 형성됐지만, 1984년 서울대공원 이전 이후에도 당시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어린 시절을 떠올리는 추억의 공간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다.

이미지 확대
새 책 ‘동물원 기행’이 말하려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소재는 동물원이지만 담고자 한 내용은 동물과 인간의 공존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런던부터 상하이까지 지구 반 바퀴를 돌며 세계 각지의 동물원을 여행했다.

동물원은 근대에 만들어진 인위적 공간이다. 나라마다 건축양식이 천차만별이듯, 동물원도 구성과 특징이 모두 다르다. 창경원에서 보듯, 일부 동물원은 제국주의나 전쟁 등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도 품고 있다. 저자는 동물원을 사람과 동물의 크고 작은 기억이 보존된 ‘기억장치’에 비유한다.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동물원의 시간은 늘 그 자리다. 바로 그 덕에 동물원은 도시의 역사적 성격을 무엇보다 잘 보존해 낼 수 있었다.

저자가 유럽에서 처음 찾은 동물원은 세계 최대 규모인 영국 런던동물원이다. 1828년 대중에게 처음 개방된 런던동물원에는 800여종, 2만 마리의 동물이 서식한다. 런던동물원은 사실 약탈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었다. 제국주의 시대에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빼앗아 온 동물들이 여전히 한몫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런던동물원은 오락적 기능만 추구하지 않았다. 학자의 연구 활동을 장려했고,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했다. 그 결과 짜임새 있는 운영과 충실한 정보가 가득한 최고의 동물원이 됐다.

외교와 교류의 장으로 활용된 동물원도 있다. 청나라 황실에서 조성한 베이징동물원이 그 예다. 코끼리, 코뿔소, 호랑이, 표범, 산양, 비버 등이 ‘평화’를 위해 오갔고, 각국 정치인들은 베이징동물원을 방문해 이를 ‘증명하는’ 기념사진을 찍었다. 저자는 이 밖에 프랑스대혁명의 불길 속에서 태어난 파리동물원, 일본군에서 국민당, 인민해방군 등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며 파괴와 재건을 거듭했던 중국 창춘동식물공원, 냉전과 동서독 통일을 온몸으로 겪어 낸 동베를린동물공원 등 시대의 흐름에 적응해 가는 동물원의 역사 속에서 사람들의 삶과 도시의 기억들을 그려 낸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08-20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