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어린이 책] “12장 공원 그림에 끝없는 얘기가 숨어 있죠”

[이주의 어린이 책] “12장 공원 그림에 끝없는 얘기가 숨어 있죠”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6-03 17:42
업데이트 2016-06-03 1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원을 헤엄치는 붉은 물고기/곤살로 모우레 지음/알리시아 바렐라 그림/이순영 옮김/북극곰/48쪽/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처음엔 ‘이게 뭐야’ 싶다. 언뜻 보면 똑같은 공원 풍경이 12장이나 연속으로 펼쳐지기 때문이다. 벤치에서 샌드위치를 앙 베어무는 아이, 단출한 차림으로 조깅에 나선 남자, 아기가 탄 유모차를 밀고 가는 엄마, 충실한 길벗인 안내견의 발걸음을 따라 산책에 나선 시각장애인 등…. 한낮의 공원에 가면 늘상 볼 수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다.

이번엔 전체에서 시선을 좁혀 본다. 한 사람 한 사람씩 찬찬히 붙잡고 페이지를 넘겨 보면 ‘같은 그림’은 ‘다른 그림’이 된다. 이야기 하나가 절로 완성된다. 공원 안의 사람들이 다 하나씩 자기만의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었던 셈이다.

12가지 장면이 벌어지는 시간은 몇 분 정도일 듯하다. 이 짧은 찰나, 공원 안에서는 우연히 만나는 사람과 사람의 인연, 사람과 자연의 교감이 여러 편의 단편으로 빚어진다. 공원 안의 모두가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이유다.

어지러워하다 풀썩 쓰러진 중년의 부인을 일으켜 주는 중년의 남자. 짝사랑하던 소녀에게 꽃을 건내 주려다 눈길도 받지 못하는 소년, 시를 쓰다 공중으로 떠오르는 시인과 그의 발에 팽이 끈을 묶어 풍선처럼 붙잡아드는 소년, 참새들이 가져온 음표로 비발디의 음악을 완성하는 플루티스트 등이다. 붉은 물고기 한 마리가 공원 안을 유유히 헤엄치며 독자들의 시선을 구석구석 가닿게 한다.

그림이 끝난 자리에 작가가 글로 풀어쓴 이야기는 7편이지만 눈 밝은 독자라면, 상상력의 한계를 모르는 아이들이라면, 이야기는 무한대로 나올 수 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6-04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