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고 지위 높다고 상류 되는 건 아니다

돈 많고 지위 높다고 상류 되는 건 아니다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6-03 17:42
업데이트 2016-06-03 17: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류의 탄생/김명훈 지음/비아북/280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상류와 계급에 대한 한국 사회의 왜곡된 인식을 신랄하게 꼬집었다. 땅콩 회항, 매값 폭행 등 부와 권력을 가진 이들의 ‘갑질’ 행태를 비판하며 진정한 상류란 무엇인지를 모색했다. 저자는 재산이 많다고 지위가 높다고 상류가 되는 건 아니라고 못박았다. 그 사람의 태도와 행동이 상류적 가치와 맞닿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가족들이 모두 앞장서서 군에 복무한 케네디가, 신입 공무원 신분으로 거대 제약 회사에 맞서 위험성 있는 성분의 약을 막아낸 켈시 박사 등의 일화를 소개하며 상류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짚었다.

저자는 상류는 외양이 아니라 ‘내면의 계급’이 어떠냐에 달렸다고 역설했다. 내면의 계급은 인종이나 사회적 지위를 초월하며 돈으로 살 수 없는 사람의 품계를 뜻한다. ‘내면의 품계가 높은 사람은 빨리 가기를 꺼리고 깊이를 추구한다.

유행을 멀리하며, 추구하는 가치가 속된 무리들과 다르다. 획일성보다 다양성, 단기보다는 장기, 찰나보다는 영구, 아이큐보다는 지성, 개인보다는 사회, 국가보다는 지구와 우주를 지향한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행동이 타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는 책임 의식을 가진 사람이다.’(7~8쪽)

저자는 초등학교 5학년 때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가 이민자의 삶을 살았다. 40년째 뉴욕에서 살고 있으며, 명문고를 나온 뒤 연방 공무원 생활을 통해 미국 사회를 깊이 이해하고 있다. 그는 “한국의 소박하고 정 많고 점잖은 사람들이 이른바 힘 있고 돈 많은, 무늬만 상류들에게 밀려 기를 펴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직접 경험하고 공부한 진짜 상류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6-04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