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일의 어린이 책] 소풍 가고픈 애에게 “이 닦았니” 안 했나요

[이 주일의 어린이 책] 소풍 가고픈 애에게 “이 닦았니” 안 했나요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3-25 17:44
업데이트 2016-03-25 1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다와 소풍 요정/김진나 지음/김진화 그림/비룡소/88쪽/8500원

이미지 확대
어른을 위한 그림책의 등장이 도드라지는 요즘, 어른이 먼저 읽어야 할 동화가 나왔다. 제5회 비룡소 문학상 수상작인 ‘디다와 소풍 요정’이다.

두 편의 단편으로 묶인 작품은 흔히 보는 동화들과는 다른 결과 성정을 품고 있다. 바꿔 말하면 대놓고든 은근슬쩍이든 교훈을 설파하려 하거나 아기자기한 환상으로 서사를 이끄는 식은 아니다. 그런데 읽고 나면 어른인 것 자체가 자꾸 찔린다. 현실과 환상 사이의 경계선이 이렇게 모호한 것이었나 갸웃하게도 된다.

매번 어긋나는 부모와 아이의 대화는 한 편의 부조리극 같다. 소풍 요정이 샌드위치 재료를 먹어 치웠다는 아이 디다의 말에 엄마는 놀라기는커녕 할 말만 한다. “이 닦았니?” 아빠가 정장을 입자 “아빠, 그런 옷을 입고 어떻게 캐치볼을 해요?”라고 묻는 디다에게 아빠 역시 뜬금없는 답으로 응수한다. “사람은 제대로 차려입고 다녀야 체면을 지킬 수 있는 거야.”

작품 속 부모는 아이의 말에는 귀 기울이지 않고 ‘해야 할 일’만 주입한다. 소풍 가고 싶은 아이의 간절한 마음은 안중에도 없다. 이는 닦았는지 얼굴은 타지 않았는지 옷은 감각 있게 입는지가 먼저다. 기껏 소풍을 떠나서도 아이는 혼자 내버려둔 채 저마다 스마트폰에만 고개를 박고 있다. 아이의 생각과 행동을 부모가 정해 놓은 기준에 맞춰 재단하려 애쓴다. “가족 판타지의 외형을 지닌 가족 속에 나 있는 일상화한 균열을 희화적으로 드러낸 작품”(김진경 작가)이라는 평처럼 이야기 속에서는 우스꽝스러운 모습들이다. 하지만 곧 알아채게 된다. 우리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풍경과 무서울 정도로 닮아 있다는 것을.

하지만 아이는 잘 자랄 것이다. 어른들의 잣대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만의 보물상자를 소중히 지킨 채. 심사위원들은 어른의 이기심과 무심함을 묘파하고 아이의 천진한 동심을 지켜 주려는 이 통렬한 이야기에 만장일치로 표를 던졌다. 초등 3학년부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3-2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