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벌어도 집 못사는 사회의 ‘대안 찾기’

평생 벌어도 집 못사는 사회의 ‘대안 찾기’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6-02-26 17:48
업데이트 2016-02-26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버지의 나라, 아들의 나라/이원재 지음/어크로스/32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1960년에 100달러를 밑돌던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지난해에는 3만 달러에 육박해 55년 만에 300배가량 늘어났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도 300배 행복해졌을까. 지난 20년간 가파르게 치솟은 자살률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를 달리는 사회관계망 지수를 보면 고개를 가로젓게 된다. 경제평론가인 희망제작소 이원재 소장은 이 책에서 아버지 시대의 성장, 소득 담론이 불어넣은 희망과 약속이 어떻게 깨져왔는지 밝힌다. 그리고 저성장 시대에 본격 진입한 우리가 새롭게 성찰해야 할 질문들을 던진다. 학업을 마친 후 평균적인 직장에 취업하고 열심히 일해서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은퇴 이후에 작은 가게를 꾸리며 적절한 소득으로 살아가는 것을 기대했던 아버지 세대의 인생 계획은 자식 세대에게는 도달 불가능한 목표가 돼 버렸다. 아들의 나라에서는 불평등이 심화되고 사회 구성원들의 분노가 커지는 가운데 파국이 예고되어 있다는 저성장 시대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이 소장은 아버지 세대가 굳게 믿는 성장 중심의 경제 패러다임이 더이상 유지될 수 없다고 보고 이에 절망하는 대신 새로운 사회로 가는 길을 모색해 보자고 제안한다.

저자는 책의 1부에서 아버지 세대에 만들어진 삶의 기반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는 자식 세대의 현실을 냉정히 살펴보고 2부에서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경제 이슈인 성장, 소득, 일자리, 기술, 노후 등에 대한 새로운 사고를 일깨운다. 그리고 3부에서는 우리가 옮겨가야 할 사회와 새롭게 마련해야 할 선택지를 제시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6-02-2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