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도덕 내세워 계급정치 유지한 위선의 나라

조선은 도덕 내세워 계급정치 유지한 위선의 나라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2-26 17:48
업데이트 2016-02-26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두 얼굴의 조선사/조윤민 지음/글항아리/368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조선 500년을 착취계층과 피착취계층의 관점에서 접근, 지배계층의 착취가 수백년간 어떻게 지속할 수 있었는지를 파헤쳤다. 조선 지배층의 근본적 성립·유지 조건, 조선의 각종 제도 운영 실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심화된 이념과 규제들 저변에 깔린 본래 의도 등을 차례로 짚었다.

저자는 “조선의 지배층은 어떤 지배 전략으로 어떤 통치 방식을 활용해 500여년 동안 조선 사회를 지배할 수 있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나름의 풀이를 찾아나가는 여정”이라고 소개했다.

착취-피착취 관점에서 조선을 고찰한 만큼 지배층의 초상이 지금껏 흔히 볼 수 있었던 모습과는 다르다. 기개와 청렴의 화신인 선비가 아닌, 민생을 돌보는 꼬장꼬장한 경세가도 아닌, 군주를 보필하며 왕도를 드높이려는 사림 관료도 아닌, 자신의 이익과 욕망에 충실한 지배자로서의 얼굴이 부각됐다.

부패와 뇌물이 일상화된 관료 사회, 관직 진출과 부를 독점하고 군역·요역 같은 각종 의무에서 면제를 받은 양반, 수탈과 참혹한 가난에 허덕이는 농민들과 군역을 피해 차라리 노비가 되기를 택하는 양민들 등 조선의 어두운 면모들도 조선왕조실록 등 여러 문헌을 통해 조명했다.

저자는 “조선은 도덕정치로 위장한 철저한 계급정치가 관철되는 위선의 나라였다. 지배층의 이익 확보와 욕망 추구를 이(理)와 도(道) 같은 사상 개념으로 포장해 정당화하고 신분 질서와 사회 위계 구조를 영속시키고자 했다. 조선 지배층의 근본적인 통치 방책은 계급정치 유지를 위해 도덕정치 이념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2-2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