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 책] 악동 동우는 ‘빌린 양심’을 갚을 수 있을까

[이주일의 어린이 책] 악동 동우는 ‘빌린 양심’을 갚을 수 있을까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2-13 23:54
업데이트 2015-02-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잣돈 갚기 프로젝트/김진희 지음/손지희 그림/문학동네/168쪽/1만 1000원

이미지 확대


열세 살 ‘동우’는 학급 내 권력 피라미드의 맨 꼭대기에 있다. 같은 반 ‘준우’에게 빌린다는 명목으로 매일 돈을 빼앗았다. 약한 친구를 괴롭히는 게 얼마나 나쁜 일인지 전혀 알지 못했다. 그날도 준우에게 돈을 ‘빌리려’ 했다. 준우가 반항하며 도망치자 동우는 뒤쫓다 자동차에 부딪혔다. 순간 동우의 삶을 180도로 바꾸는 사건이 일어났다. 죽어서 저승에 가게 된 것. 하지만 동우를 저승에 데려온 건 저승사자의 실수였다. 사주와 이름이 같아 착각을 했다. 저승사자는 죽은 자가 저승에 올 때는 당연한 거라 상관없지만 이승으로 돌아갈 땐 노자를 내야만 한다고 했다. 노자는 저승의 ‘곳간’에 쌓인 돈을 내면 된다고도 했다. 사람들이 태어나면 저승에 곳간이 생기는데 좋은 일을 하면 곳간에 저축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우의 곳간은 텅텅 비어 있었다. 동우는 얼굴이 하얗게 질리며 펑펑 울었다. 저승사자는 “이승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건 아니야. 다른 사람의 노자를 빌려줄 테니 이승에 돌아가면 갚도록 하라”고 했다. 동우를 이승으로 돌려보내면서 49일째까지 노자를 다 갚지 못하면 다시 저승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경고했다. 동우는 눈을 떴다. 병원 침대 위에 누워 있었다. 다시 살아난 것이다. 동우가 이승에 돌아올 수 있도록 노자를 빌려준 사람은 누굴까. 동우는 과연 저승사자와의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

동우가 빌린 노잣돈을 갚으면서 돈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가치인 양심과 우정을 되찾아 가는 과정이 감동적으로 그려졌다. ‘누군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가, 진실한 관계 맺음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누군가와 화해하고 소통하는 과정은 그 존재를 이해하는 데서부터 시작되고, 그 존재를 이해하기 위해선 그를 알려고 노력하고 마음으로 눈여겨봐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제15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수상작이다.

심사위원들은 “동우와 준우의 우정을 통해 우리가 회복하고자 하는 어떤 가치의 실마리를 볼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평했다. 초등 고학년.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2-14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