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감정을 가르친다면 그 후엔 사람처럼 대해야 하나

인공지능에 감정을 가르친다면 그 후엔 사람처럼 대해야 하나

입력 2013-09-05 00:00
업데이트 2013-09-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펴낸 세계적 SF 작가 테드 창

테드 창(46)은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SF 작가 중 하나다. 1990년 데뷔작인 ‘바빌론의 탑’으로 SF판타지작가협회가 주는 네뷸러 상을 역대 최연소 수상한 그는 과학소설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휴고 상과 네뷸러 상, 로커스 상 등을 여러 차례 휩쓸며 명실상부한 최고 작가로 떠올랐다. 20여년간 중·단편 13편만을 발표한 과작(寡作)이지만 작품 수보다 수상 횟수가 더 많다.

이미지 확대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에는 디지언트들의 가상 공간을 관리하는 ‘대산 디지털’이라는 한국 기업이 등장한다. 중국계 미국인인 테드 창은 “한국이 미래에 중요한 기술 선진국이 될 것이라 본다”면서 “(‘리니지’ 같은)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MMORPG)이 큰 인기를 끄는 것도 한국 기업을 등장시킨 이유”라고 말했다. 북스피어 제공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에는 디지언트들의 가상 공간을 관리하는 ‘대산 디지털’이라는 한국 기업이 등장한다. 중국계 미국인인 테드 창은 “한국이 미래에 중요한 기술 선진국이 될 것이라 본다”면서 “(‘리니지’ 같은)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MMORPG)이 큰 인기를 끄는 것도 한국 기업을 등장시킨 이유”라고 말했다.
북스피어 제공
지난달 국내에 출간된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이하 ‘소프트웨어’·북스피어) 역시 휴고 상과 로커스 상 최우수중편상을 수상했다. 2004년 소설집 ‘당신 인생의 이야기’ 이후 9년 만에 국내에 선보인 ‘소프트웨어’는 한 달도 안 돼 초판 3000부가 모두 판매됐다. 그동안 언어와 종교, 유전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뤄 온 그는 ‘소프트웨어’에서 인공지능의 세계를 그린다. 작가는 4일 서울신문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가 있다고 해도 인간이 아는 것을 모두 가르치는 데는 수년간의 노력이 들어갈 것”이라면서 “인공지능에게 무언가를 가르치는 것이 어떤 일인지 탐색해 보려 했다”고 집필 동기를 밝혔다.

“나는 오래전부터 과학소설이 인공지능을 묘사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정말 스위치만 반짝 켜면 충성스럽고 유능한 집사가 우리를 기다릴까? 인간의 뇌만큼 우수한 컴퓨터가 있다고 해도 우리는 여전히 컴퓨터에게 인간이 아는 모든 것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말하는 법과 걷는 법, 물체를 떨어뜨리면 낙하한다는 사실 같은 것 말이다.”

‘소프트웨어’의 배경은 인공지능을 가진 가상의 생명체를 키울 수 있는 미래다. 전직 동물원 사육사인 애나는 게임 회사인 블루감마에 고용돼 디지털 애완동물 ‘디지언트’를 사육하는 일을 맡는다. 처음 생성된 디지언트는 아기처럼 백지 상태다. 시간이 흐르고 경험이 쌓이면서 디지언트들은 진화하기 시작한다. 인간의 욕을 체득하고, 돈을 벌 생각을 하고, 사랑의 감정을 배운다.

“나도 여자 친구와 함께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애완동물과 디지언트는 다르다. 주인공들은 (지능이 있는) 디지언트가 애완동물보다는 아이에 가깝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부모는 애완동물 주인보다 훨씬 큰 책임과 헌신을 필요로 한다. 어떤 면에서는 인간이 침팬지를 키우는 것과 비슷할 것이다. 아주 똑똑한 동물을 키운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훨씬 복잡한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니까.”

디지언트가 진화하는 것과 달리 실제 세계의 관심은 사그라든다. 블루감마는 문을 닫고, 디지언트들은 주인들이 만들어 놓은 사설 디지털 대륙에 고립된다. 애나는 디지언트를 새로운 플랫폼에 옮기려고 하지만 이식에는 엄청난 비용이 따른다. 디지언트를 가상 세계의 섹스 파트너로 이용하려는 기업이 이식을 제안 조건으로 내걸면서 주인들은 윤리적 딜레마에 빠진다. 작가는 창작 노트를 통해 “정말로 쓰고 싶었던 부분은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에서 생겨날 수 있는 감정적 관계”라고 설명했다.

“어떤 것이 소프트웨어인 동시에 사람이고, 상품인 동시에 윤리적 배려를 받아 마땅한 개체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것인가. 나는 미래에 대해 회의적일 때도 있고 낙관적일 때도 있다. 하지만 기술이 문제가 될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기술은 우리를 잔인하거나 이기적으로 만들지도, 우리가 잔인해지거나 이기적으로 되는 것을 막아주지도 않는다. 문제는 인간의 본성이다.”

‘소프트웨어’의 기저에는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른 윤리적 문제가 자리잡고 있다. 언어와 기억, 감정, 욕망으로 나아가는 디지언트의 진화는 인간의 속성과 도덕을 여러 번 되묻는다. 인간이 아바타를 통해 디지털 세계로 들어가고 디지언트가 실제 세계의 로봇을 통해 외부로 나오면서 양쪽의 경계는 흐려진다. 장르 문학의 최전방에서 장르의 경계를 고민하고 있는 테드 창의 말은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의 경계에 대한 사유로도 읽힌다.

“경계가 흐려지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장르 문학의 경계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항상 자신들을 어떤 그룹에 넣고 사물들을 카테고리에 포함시키지 않나. 하지만 그런 카테고리와 그룹에 지나치게 중요성을 부과할 필요가 있을까. 물론 우리는 절대 그런 경계를 없애지 않을테지만.”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9-05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