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스토리텔링… 치유를 나누다

질병의 스토리텔링… 치유를 나누다

입력 2013-08-10 00:00
업데이트 2013-08-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의 증언] 아서 프랭크 지음/최은경 옮김 갈무리/392쪽/2만 1000원

병에 걸렸을 때의 두려움, 건강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나 회한, 병에서 회복했을 때의 기쁨…. 병은 숙명적으로 많은 이야기(서사·?事)를 남긴다.

지은이는 병에 대한 이야기를 복원(restitution), 혼돈(chaos), 탐구(quest)의 서사로 나눈다. 복원이 병에서 나을 것이라는 희망에 대한 이야기라면, 혼돈은 과연 병에서 회복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두려움이나 공포이다. 탐구는 병과 정면으로 마주친 삶의 자세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래서 복원의 서사의 주체는 약이나 의사이며, 복원의 이야기는 의학의 승리에 관한 것이다. 반면 혼돈의 이야기는 고통을 받는 사람 자신의 이야기로, 그 고통은 너무 커서 자아에게 말할 수 없다. 탐구는 병과 동행하면서 느낀 깨달음 또는 탐색의 이야기로서 질병 이야기의 대부분은 여기에 속한다.

사람들은 질병을 마주하면서 한층 성숙해지고 인생을 관조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병은 철학과도 연결된다. 지은이는 현대 탐구 이야기의 아버지로(?)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를 꼽는다. 원인 미상의 두통 등 만성 증상에 시달린 그는 자신을 괴롭히는 고통을 ‘개’라고 불렀다. 고통이 충직하면서도 영리하게 몸에서 떠나지 않는 데다 병을 꾸짖을 수도 있고, 나쁜 기분을 발산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미 눈치를 챘겠지만 이 책은 쉽지 않다. 질병이 복잡하고 전문적 기술로 치유된다는 점에서 의사들의 진료는 ‘모던’하며, 아픈 사람들이 자신의 눈으로 병과 마주치고 대응하는 것을 ‘포스트모던적’이라고 했다. 또 병에서 나았지만 재발의 위험을 안고 살아가는 것을 ‘회복사회’라고 했다. 이 책 역시 지은이가 암의 재발이 의심돼 불안해하던 1994년에 쓴 것이다. 중간중간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탈코트 파슨스,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위르겐 하버마스·죄르지 루카치 등의 이론을 인용해 병에 대한 인식의 깊이를 더해주지만 아픈 사람들에게 병에 대한 깊은 담론이 귀에 들어올 것 같지는 않다.

임태순 선임기자 stslim@seoul.co.kr

2013-08-10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