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나요, 중국에 남겨진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

알고 있나요, 중국에 남겨진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

입력 2013-08-09 00:00
업데이트 2013-08-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세홍 사진집 ‘겹겹’ 출간

“이젠 조선말도 중국말도 잘 못해. 부끄러워. 조선말을 잊어버린 게 가슴 아파.”

이미지 확대
일본군 밥해 주고, 옷 지어 주는 허드렛일 하는 줄 알고 1940년 열아홉살 나이에 중국에 끌려온 이수단(92) 할머니는 ‘히도미’란 이름으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일본군의 성노예로 살았다. 1945년 전쟁이 끝났지만 할머니는 남겨졌다. 헤이룽장성 둥닝 현에서 만난 이수단 할머니는 가슴에 겹겹이 쌓인 모진 세월의 상흔을 모국어에 대한 그리움으로 표현했다.

사진작가 안세홍이 2001년부터 12년간 중국 곳곳에 살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은 포토 에세이집 ‘겹겹’(서해문집)이 출간됐다. 도망칠 엄두조차 못 내고 위안소 근처에 살았던 김순옥 할머니, 고향을 잊지 않으려고 날마다 지도를 봤다는 박대임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여덟 명의 한숨과 고통이 흑백사진 속에 담겼다. 이 가운데 생존해 있는 할머니는 단 두 명이다.

안세홍 작가는 2011년부터 일본 12개 도시와 뉴욕, 파리, 베를린, 서울 등 세계 주요 도시를 돌며 일본군 위안부 사진전과 강연회 등 ‘겹겹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도쿄 니콘살롱전시장에서 열려던 전시회가 니콘 측의 일방적인 계약 파기로 취소됐다가 소송까지 벌인 끝에 개최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이순녀 기자 coral@seoul.co.kr

2013-08-09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