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입견·비판없이 체험한 8개종교… 영혼 치유의 유쾌한 편력기

선입견·비판없이 체험한 8개종교… 영혼 치유의 유쾌한 편력기

입력 2013-07-20 00:00
업데이트 2013-07-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을 찾아 떠난 여행] 에릭 와이너 지음/김승욱 옮김 웅진지식하우스/458쪽/1만 4500원

종교에 귀의하거나 신앙을 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삶의 궁극적인 목표와 가치를 깨닫기 위한 처절한 구도의 길을 걷기도 하고, 피로하고 지친 일상에서의 위안을 찾는 방편으로 삼기도 한다. 그 종교를 통해 만족할 만한 해답을 얻기도 하지만 길을 찾지 못한 채 그저 의지해서만 살아가는 이들이 태반이다. 그래도 많은 이들은 삶의 진정한 가치와 올바른 길을 알려주는 ‘그 무엇’이 있다며 종교의 주위를 맴돈다.

‘신을 찾아 떠난 여행’은 뼈를 깎는 구도의 길이 아닌, 영혼의 위로를 찾아 나선 방편으로 종교를 들여다본 일종의 종교 편력기. 뉴욕타임스와 미국 공영방송 NPR의 해외특파원으로 일했던 저자가 심각한 우울증으로 입원해 간호사에게서 들은 한마디가 책을 낸 계기가 됐다. ‘아직 당신의 신을 만나지 못했나요?’ 자신의 마음을 치유해줄 종교를 찾으러 세계일주를 떠나 만난 이슬람 수피즘, 불교, 가톨릭 프란치스코회, 라엘교, 도교, 위카, 샤머니즘, 유대교 카발라 등 8개 종교에 대한 인상과 여정의 기록이다.

책을 관통하는 코드는 유머다. 심각하게 빠져들거나 그렇다고 뾰족하게 비판하지도 않는 기자 특유의 글 쓰기가 유쾌하다. 그러면서 종교와 삶, 죽음을 바라보는 합리적 통찰이 섬세하다. 이슬람의 ‘알라’를 찾아나선 길에서 “드물기는 하지만 그래도 너무 자주, 커다란 폭발음이 함께 들려오기도 하는 신”이라 쓰는가 하면 경적을 울리며 다른 차를 추월하고 불법 유턴하는 프란치스코회 수사를 만나선 “온유한 자들이 땅을 차지할지는 몰라도 고속도로에선 통하지 않는다”며 웃는다. 네팔 카트만두에서 불교를 접하고는 한때 ‘드디어 내 마음을 잡은 종교를 만났다’고 생각하지만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새로운 종교를 만날 때마다 명상 등을 체험하며 ‘내 마음을 치료해줄 수 있느냐’고 묻지만 역시 뾰족한 답은 얻지 못한 채 물음을 되풀이하는 여정이 흥미롭다. 그러면서도 종교에 대해 일관되게 품는 생각은 이렇다. ‘분명히 확신할 수 없는 게 뭔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큰 뭔가가 있다고 믿는다.’

적당한 구도와 깨달음, 실망과 혼란이 섞인 여정의 끝에서 저자는 결국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최대한 바랄 수 있는 것은 이 지혜의 조각들이 우리의 골수로 스며드는 것이다. 좋은 종교의 목표는 우리 자신 속에 있는 가장 불쾌한 부분들을 단순히 수용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랑해도 될 만한 것으로 바꿔놓는 것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3-07-20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