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요하네스버그에 상륙한 이유는?

외계인, 요하네스버그에 상륙한 이유는?

입력 2011-07-16 00:00
업데이트 2011-07-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리 선생님, 스크린에 풍덩!】 전국사회과교과연구회 지음 서해문집 펴냄

어느 날 거대한 우주선 한 척이 지구 상공에 멈춰 선다. 고장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상공에 ‘불시착’한 것이다. 고장난 우주선이 중력을 이기고 허공에 떠 있는 게 가능한 것인지는 의문이지만, 어쨌든 영화 ‘디스트릭트 9’(2009년)은 그 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 간다.

우주선에 있던 외계인들은 요하네스버그 인근의 ‘디스트릭트 9’에 격리 수용된 채 28년 동안 인간의 통제를 받는다. 그 와중에 ‘디스트릭트 9’은 무법지대로 변하고, 급기야 외계인 관리국(MNU)이 구역 전체를 강제 철거하기에 이른다.

그런데 외계인들은 왜 하필 요하네스버그 상공에 불시착한 걸까. 그에 대한 답을 찾는 책이 ‘지리 선생님, 스크린에 풍덩!’(전국사회과교과연구회 지음, 서해문집 펴냄)이다.

책은 영화의 배경이 된 지역들에 대한 지리적 접근을 통해 독자들이 지리와 친숙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사실 지리는 통합적인 사고 능력과 폭넓은 세계관 형성에 필수적인 학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입시제도에서 지리가 갖는 학문적 무게는 미미하다. 이에 지리 과목에 활기를 불어넣으려는 교사들이 2004년 연구 모임을 만들었고, 청소년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영상물 콘텐츠를 활용해 지리적 경험을 갖게 해줄 방법을 모색했다. 책은 그런 시도들의 중간 결과물이다.

책은 영화의 내용이 남아공의 현대사와 꼭 닮았다는 걸 간파해 낸다. 우선 영화 속의 외계인 격리 구역인 ‘디스트릭트 9’은 남아공에 실재했던 ‘디스트릭트 6’가 모티프다. 인종차별정책(아파르트헤이트)에 따라 흑인들이 모여 살던 요하네스버그 외곽의 판자촌 지역을 일컫는 표현이다. 영화에서처럼 ‘디스트릭트 6’에 격리돼 살던 흑인들도 1970년대 정부에 의해 도시 외곽으로 쫓겨나게 된다. 공식적인 이유는 ‘디스트릭트 6’의 윤락과 도박 근절이었지만, 실질적인 이유는 시청 건물을 세우기 위해서였다.

영화도 얼개는 비슷하다. MNU는 무기 수출로 돈벌이를 하는 기업이며, 이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오로지 외계인들이 갖고 있는 첨단 무기였다. 결국 MNU가 전쟁 같은 철거 작전을 감행한 까닭은 다량의 외계 무기를 거저 챙기기 위해서였던 것이다.

책은 모두 10편의 영화를 다룬다. ‘해운대’를 통해 쓰나미의 원인과 피해를 알아보고, ‘아바타’에선 불타고 있는 ‘산소 창고’, 아마존의 현실에 대해 고민한다. 영화 속 배경 지역의 기후에 대한 설명부터 미처 발견하지 못한 흥미로운 지리 요소들과 깊이 있는 사회과학적 분석까지, 지리의 눈으로 엿보는 또 다른 영화 세계가 펼쳐진다. 1만 49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1-07-16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