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에 대한 욕망 허영을 스캔하다

명품에 대한 욕망 허영을 스캔하다

입력 2011-03-12 00:00
업데이트 2011-03-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품 판타지】김윤성·류미연 지음 레디앙미디어 펴냄

‘패션은 변하지만 스타일은 영원하다.’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가브리엘 샤넬(1883~1971년)이 남긴 유명한 말이다. ‘명품 판타지’(김윤성·류미연 지음, 레디앙미디어 펴냄)는 가제를 ‘샤넬 스타일’로 했을 만큼 샤넬을 통해 ‘럭셔리라 쓰고 명품이라 불리는’ 패션 산업의 진실을 알려 준다.

저자 김윤성은 환경운동연합에서 일했고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 기후변화센터의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류미연은 대학에서 섬유디자인을 배웠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했으며 책에 삽화를 그려 넣었다.

●럭셔리 대명사 샤넬 출발은 여성해방

이미지 확대
프랑스 남부 시골에서 장터를 전전하며 행상을 하는 아버지의 둘째 딸로 태어난 샤넬은 수녀원이 운영하는 고아원에서 자랐다. 기숙학교를 졸업한 샤넬은 봉제원의 점원, 클럽의 무명 가수로 일했다. 가수 시절 에티엔 발장이란 기마대 장교를 알게 되어 그의 정부로 몇 년을 보낸다.

여성들에게 자유를 안겨준 패션을 만들었지만 샤넬에게도 남자에게 기대 산 시절이 있었던 것. 하지만 다른 정부와 샤넬이 달랐던 것은 남자의 돈으로 보석, 예쁜 옷, 화려한 파티를 즐긴 것이 아니라 자기 가게를 열어 달라고 한 점이었다. 서른한 살에 샤넬은 발장과 그의 친구가 마련해 준 돈으로 파리 캉봉 가에 모자 가게를 연다.

1000만원은 줘야 살 수 있는 샤넬의 트위드 투피스와 500만원을 너끈하게 넘기는 샤넬 가방은 일하는 여성을 고려한, 모더니즘에서 시작한 패션이었다. 특히 샤넬 가방은 매년 가격을 올리지만 오히려 한국 여성들은 결혼 예물로 샤넬 가방만은 꼭 받아야겠다며 목을 맨다.

●보통사람들 사치품 쓰며 계층차이 두려는 심리

저자는 이런 현상을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의 말을 빌려 설명한다. 소득 수준이 보통인 ‘보통 사람’들에게 사치품 또는 명품이 잘 팔리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기 위에 있는 계층을 흉내 내며 그 안에 속하기를 바라고, 자신이 속한 계층 안에서는 차이를 두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심리 때문이란 것이다.

특히 우리 사회의 특징 중 하나는 많은 사람이 자신은 ‘노동자 계급’이란 의식이 약하고 ‘나는 중산층’이란 심리적 기준을 가진 사람이 많다는 점이다. 그래서 유한계급이나 누릴 수 있는 사치품이 금세 유행이 되고, 그 유행을 따라가야 무리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저자는 “사람들에게 멋진 옷과 멋진 생활이란 환상을 주고 그 대가로 돈을 버는 패션이야말로 판타지를 만들어 내는 판타스타다. 자본주의 세계의 승자는 환상을 만드는 판타스타 쪽이다. 판타스타의 수동형인 판타스티는 번번이 ‘마케팅’이란 판타지 전략 앞에서 힘들게 번 돈을 쉽게 내줬다. 이 게임의 규칙을 조금이라도 바꿀 수는 없을까?”라고 묻는다.

명품 소비를 무작정 ‘된장녀의 된장질’로 몰아가고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욕망하는 명품의 세계를 꼼꼼히 뜯어 보고 제대로 질문을 던지자는 것이다. 내 지갑을 열게 하려고 남들이 짜놓은 전략에 걸려들기보다는 전략을 먼저 알아보는 사람이 되는 것이 경쟁 가득한 사회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조금 높아지기 때문이다.

●환상의 허울 두른 패션하우스는 허세의 공장

샤넬의 투피스는 사회에 진출한 여성을 위해 만들어진 ‘일하는 여성을 위한 정장’이었고, 체인을 달아 두 손을 해방시킨 가방에는 퀼팅(누비 박음질) 처리를 해 웬만한 흠은 티가 나지 않도록 했다. 코르셋과 무거운 페티코트를 입던 여성들에게 짧은 머리와 직선적인 옷의 중성적 스타일을 제안한 것도 샤넬이었다.

그럼 다음 시대의 패션을 이끌어 갈 샤넬은 누가 될 것인가. 샤넬이 ‘여성해방’의 정신을 구현했다면 앞으로 패션이 제시해야 할 철학은 ‘생태’와 ‘자연해방’의 정신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사치품이 명품이라 불리는 순간, 게임의 규칙은 정해진다고 강조한다. 이제 명품이란 단어는 버리고, 사치품이란 말이 입에 잘 붙지 않는다면 차라리 원래 이름인 럭셔리란 단어를 쓰자고 제안한다. 패션 브랜드나 스타 디자이너는 신이 아니라 환상이란 허울을 두른 인간이란 걸 기억하자고 말이다. 그 환상은 요즘 유행하는 말로 바꿔 부르면 허세를 만들어 파는 사람쯤이 되겠다. 1만 7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3-12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