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발전 담론의 왜곡된 진상 파헤쳐

성장·발전 담론의 왜곡된 진상 파헤쳐

입력 2010-12-18 00:00
업데이트 2010-12-18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反자본 발전 사전 】볼프강 작스 외 지음 아카이브 펴냄

성장과 개발을 절대선으로 믿어온 우리의 고정관념을 뿌리부터 뒤흔드는 개념사전?

하여간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경제성장과 발전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왔는지에 대한 숨 고르기라고 해두면 되겠다.

이반 일리치(오스트리아), 반다나 시바(인도), 볼프강 작스(독일)를 비롯한 세계의 저명한 발전 비판론자들이 각각의 개념에 숨겨져 있는 맥락과 전제들을 보여주면서 서구 따라잡기에 급급했던 비서구권에 반성과 성찰을 촉구하는 책이다. 이름도 약간 특이하다. ‘反자본발전 사전’(볼프강 작스 외 지음, 이희재 옮김, 아카이브 펴냄)이다. 원제는 The Development Dictionary.

책에는 발전, 환경, 평등, 도움, 시장, 요구 등 자본주의를 구성하는 19가지 개념에 대한 이야기, 우리가 세계를 어떻게 왜곡되게 바라보면서 인간의 삶을 왜소화하고 자연을 황폐화했는지, 또 세계와 인간과 자연을 어떻게 바라보고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롭고 참신한 관점을 제시한다.

‘성장이 곧 발전인가’를 물어보면 어떻게 답할까. 저자들은 발전 담론을 둘러싼 개념들을 의심하고 그 이면에 감춰진 암묵적 전제들을 드러내면서 성장과 개발이 반드시 발전일 수 없으며 국가가 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얼마나 많은 국민들을 억압하고 그런 세계관을 강요했는지 등을 꼬집고 있다.

비서구권에는 발전과 성장, 공정과 정의가 이상하게 얽혀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발전모델은 이제 더는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발전이 결코 능사가 아니며 이 시점에서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 보자는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면서 저자들은 발전 담론을 둘러싼 주요 개념들의 기원과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추적하면서 우리가 어떻게 서구식의 잣대와 색안경을 끼고 그들의 생활수준, 삶의 방식, 세계관 등을 따라가려 하는지에 대한 낯간지러움도 얘기한다. 아울러 책은 참여, 계획, 사회주의, 진보, 국가 등의 개념들을 좌와 우의 틀에 매이지 않고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비판하고 성찰한다. 3만 20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0-12-18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