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을 벗기다】안병도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미국의 인기 만화 시리즈 ‘심슨’에는 글로벌 기업 애플을 비꼬는 일화가 있다. 사과 모양의 로고가 새겨진 매플 상점에서 심슨의 딸 리사는 마이팟을 산다. 상점에 모인 매플 추종자들은 매플의 사장 스티브 맙스의 연설을 듣고서 “그는 마치 우리가 뭘 원하는지 전부 아는 것 같아.”라고 중얼거리며 지갑에서 돈을 꺼낸다. 심슨의 아들 바트는 마이크를 훔쳐 맙스의 연설 내용을 “너희는 나에게 돈을 벌어다 주는 찌질이들에 불과해.”라고 바꾼 뒤 도망가면서 “멍청한 미친 무리들”이라고 내뱉는다.‘애플을 벗기다’(안병도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는 ‘윈도 빠돌이’는 없는데 왜 맹목적인 ‘애플빠’ 혹은 ‘팬보이’(fan boy)가 존재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애플빠나 팬보이는 애플의 열광적 지지자들을 일컫는 말이다.
공과 대학 재학 시절부터 애플의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를 역할 모델로 삼았다가 결국 실망했던 저자 안병도씨는 정보기술(IT) 칼럼니스트로 미리내 소프트 등 IT 업체에서 근무하며 20년 가까이 애플을 지켜보았다.
애플빠 또는 팬보이는 애플이 제품에 덧씌운 종교적 분위기 탓에 생겨났다는 게 저자의 진단이다. 아이팟의 나사 하나 없는 매끈한 디자인, 매킨토시 컴퓨터가 켜질 때 나는 기묘한 부팅 음, 맥북 뒷면의 독특한 모양 등은 소비자에게 종교적인 열정을 일으켜 비이성적 판단을 하게끔 한다.
실제로 잡스는 애플을 설립하기 전 일하던 컴퓨터 게임회사 아타리에서 인도로 여행 갈 기회를 잡아 힌두교의 그루(스승) 바바와 한 달간 머물게 된다. 이때 잡스는 종교적 가르침보다는 교주로서 사람을 통솔하고 대하는 법을 배웠으며 특유의 카리스마도 이 시기 이후 나타난다.
더구나 경쟁자에게 밀려 창업한 회사에서 쫓겨났다가 다시 복귀해서 회사를 살려 낸 잡스의 개인적인 이력은 마치 종교적 신화와 같은 후광을 그에게 덧씌웠다.
애플의 또 다른 특징은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IT 업계에서 가장 많은 현금을 보유한 회사란 것이다. 지난 3월 기준 애플은 417억 달러(약 47조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처럼 다른 기업과의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사업 확장도 하지 않고 외국에 있는 지사를 관리할 필요도 없는 애플이 현금에 연연하는 까닭은 ‘자신이 만든 회사에서 쫓겨난’ 잡스의 편집증적 집착의 일부란 게 저자의 분석이다.
또 항상 달려야 하는 경주마처럼 신기술을 개발해야 하고 반복되는 특허 소송에 따른 법률 비용 때문에라도 애플은 현금을 보유하려 한다는 것이다.
고장 나면 무조건 다른 제품으로 교환해야 하는 애플의 악명 높은 수리 정책과 아이폰 4의 안테나 결함을 처리하며 보였던 오만한 태도는 이미 유명하다. 애플의 모든 직원들은 연인에게조차 자신의 일에 대해 이야기하지 못하는 비밀 엄수 서약에 서명해야 한다.
이런 독재적이고 폐쇄적인 애플의 구조 때문에 애플은 기업으로서 정체성을 잃은 채 스티브 잡스라는 개인의 분신이 되어 버렸다는 것이 저자의 평가다.
아이패드는 오랫동안 개인용 컴퓨터 시장의 2인자에 머물렀던 애플의 야심작이다. 내년 초에 발매될 아이패드 2세대는 컴퓨터의 오피스 기능을 상당 부분 흡수할 것이라는 게 많은 전문가의 의견이다.
안씨가 지적하는 애플의 가장 큰 문제는 ‘잡스 이후’를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애플은 최고경영자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아 ‘글로벌 100대 지속 가능 기업’에 한 번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애플을 벗기다’는 이 시대의 전설이 된 스티브 잡스와 애플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1만 3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12-11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