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예·원로 작가 20명의 진솔한 반성

신예·원로 작가 20명의 진솔한 반성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문집 ‘…되돌아보고 나를 찾다’

“반성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자신과의 약속이다.”

김용택, 박완서, 안도현, 이순원 등 유명 작가들이 스스로 쓴 ‘반성문’은 어떤 모습일까. ‘반성-되돌아보고 나를 찾다’(더숲 펴냄)는 이들을 비롯해 이재무, 이승우, 구효서, 장석주, 서하진, 김규나, 고형렬 등 신예부터 원로까지 작가 20명의 진솔한 자기반성을 모은 산문집이다.

장석주는 ‘반성은 자기 돌아봄이다’에서 ‘반성’의 중요성에 대해 이렇게 역설한다. “나는 어떤 진리나 옳은 신념이라 하더라도 반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 모든 파시즘의 독재자들은 제가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신념 속에서 남을 죽이고 억누른다. 그들에게 부족한 것은 바로 반성이다.”

책에는 예술가이자 한 인간으로 이 시대를 사는 삶의 자세에 대한 성찰이 있는가 하면 가족에 대한 가슴 뭉클한 사랑을 전하는 내밀한 고백도 담겨 있다. 뇌졸중으로 요양 중인 어머니가 매일 오전 10시 걸어오는 안부전화의 소중함을 뒤늦게 깨달았다는 서석화 작가의 ‘어머니의 문안 전화’는 마음과 달리 쉽게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 ‘사랑한다’는 말의 감동을 전한다.

차현숙의 ‘엄마의 나쁜 딸’, 김이은의 ‘사소한 계란말이의 기억’에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슴 찡한 모녀 간의 정이 전해진다. “화장터에서 뼛가루와 함께 삼각으로 된 철과 나사못, 대못 따위가 나왔다. 잿더미에서 헤쳐져 골라지는 그것들을 보며 몹시 가슴이 아파왔다. 아, 저건 내가 박은 못이야. 아, 얼마나 아팠을까.”(‘엄마의 나쁜 딸’ 중)

소소한 일상에 대한 반성문도 있다. 안도현 시인은 ‘이까짓 풀 정도야’에서 원고가 밀려 일주일 가까이 밭을 둘러보지 못한 사이 이미 손을 쓸 수 없을 정도로 풀이 자라 실패한 농사 경험을 들려준다. 그 속에서 겸손을 배웠다고 작가는 말한다.

박완서도 ‘좋은 일 하기의 어려움’에서 건망증에 대한 두려움보다 더 서글픈 것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남을 위해 좋은 일 한 게 하나도 없다는 것이라고 고백한다. 쓰레기 분리 배출을 하면서 든 과잉 포장에 대한 생각, 먹을 것이라면 절대로 버려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 바뀌게 된 계기 등 글을 읽다 보면 작가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것처럼 가깝게 느껴진다.

고운기의 ‘세상을 바로 살기 위한 여섯 가지 반성’, 우광훈의 ‘너무나 안전했던 대구’, 공애린의 ‘오르한 파묵의 바늘’, 김종광의 ‘휴강한 죄’ 등도 멀게만 느껴졌던 작가들을 친밀하게 느끼게 만든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12-0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