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곽의 어제와 오늘 순례하듯 정리

서울 성곽의 어제와 오늘 순례하듯 정리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순성의 즐거움】김도형 지음 효형출판 펴냄

‘순성’(巡城). 조선 정조 때 실학자 유득공(1749~1807)의 말을 빌려본다. ‘도성을 한 바퀴 빙 돌아서 도성 안팎을 구경하는 멋진 놀이’가 순성이다.

한양 사람들은 봄과 여름이 되면 짝을 지어 성 둘레를 따라 돌면서 성 안팎의 경치를 구경했다. 이는 하루해가 꼬박 걸렸으며 사람들은 이날을 무척 기다렸다고 한다.

그럼에도 조선의 도읍지 한양이 성곽도시였다는 사실을 아는 이가 얼마나 될까. 숭례문과 흥인지문을 보고도 이들 성문 양 옆으로 성벽이 연결되어 있음을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순성의 즐거움’(김도형 지음, 효형출판 펴냄)은 바로 이런 점을 열거하면서 가장 우리다운 유적지 탐방의 기회를 다시 제공해 주고 있다. 순성을 키워드로 서울 성곽의 어제와 오늘을 흥미롭게 정리한 책이다.

1395년 태조 이성계는 성곽 축성을 명한다. 전국의 석수와 목수 등을 한양으로 불러들였음은 물론이다. 세종과 숙종 때 대대적인 보수·중건을 거친 서울 성곽은 18.6㎞에 이른다. 이렇게 탄생된 서울 성곽은 그 옛날부터 성벽을 훼손한 자에게 효수형(梟首刑)을 내릴 정도로 귀중한 대접을 받았다.

저자는 숭례문에서 시작해 시계 방향으로 성곽 도보순례를 안내하며 성곽과 주변의 서울 풍경을 골고루 보여준다. 내사산(인왕산, 북악산, 낙산, 남산)의 산줄기를 따라 4대문과 4소문(소의문, 창의문, 혜화문, 광희문)을 경유하는 코스다.

하지만 한말과 일제 강점기 때 대부분 훼손돼 전체 18.6㎞ 가운데 복원 완료된 구간이 11.9㎞, 복원 진행 중인 구간이 1.6㎞, 그리고 성곽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멸실 구간이 5.1㎞ 정도 된다. 따라서 성곽을 따라가다 보면 도로 위에 붉은 페인트로 성곽 표시만 해둔 곳, 학교와 빌딩 등의 담장에 겨우 흔적만 남은 성곽 등도 만나게 된다.

수년간 지리학을 공부해온 저자는 서울 성곽의 존재를 꼼꼼히 밝혀내기 위해 고전 국역본과 단행본, 지도와 사진첩, 수많은 논문자료를 수집한 뒤 2년 동안 서울 성곽을 수십차례 순성하는 발품을 들였다. 1만 35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0-12-0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