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꽝’ 엄상궁은 여걸이었다

‘얼꽝’ 엄상궁은 여걸이었다

입력 2010-12-04 00:00
업데이트 2010-12-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 마지막 황태자 】송우혜 지음 푸른역사 펴냄

일제가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뺏은 지 100년이 된 올해는 아픔의 ‘경술국치’ 역사를 되새긴 책들이 많이 주목받았다. 하지만 소설 ‘덕혜옹주’의 표절 시비가 보여주듯 대한제국 말기를 다룬 저작물은 빈약한 사료에 기대 자극적인 내용만 되풀이한다는 지적이 많다. ‘마지막 황태자’(푸른역사 펴냄)는 전작 ‘윤동주 평전’으로 작가이자 사학가로 인정받은 송우혜가 ‘조선왕조실록’은 물론 ‘일성록’ ‘승정원일기’ ‘각사등록’ ‘대한계년사’ ‘매천야록’ 등 사료와 신문기사 등을 공부해서 황태자 이은을 생생하게 살려냈다. 총 4권 가운데 3권이 먼저 나왔다.

이미지 확대
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 이은의 생모인 엄 귀비. 송우혜의 ‘마지막 황태자’는 엄 귀비가 뛰어난 지략과 정치 감각을 지닌 여걸이라 평가하고 있다. 푸른역사 제공
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 이은의 생모인 엄 귀비. 송우혜의 ‘마지막 황태자’는 엄 귀비가 뛰어난 지략과 정치 감각을 지닌 여걸이라 평가하고 있다.
푸른역사 제공
저자 송씨가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며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이은에게 주목하게 된 것은 ‘순종실록부록’ 1911년 7월 5일자에 실린 “왕세자(이은)가 (일본에 있는) 학습원 중등과 제2학년 제1학기 시험에서 우등함으로써 상장을 받다. 천황 폐하가 칠종 교어(交魚) 한 통을 하사하다.”란 기록 때문이었다.

일본어를 전혀 모른 채 인질로 일본에 끌려갔던 이은은 동급생들보다 어렸지만 일본 귀족의 아이들과 경쟁해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이은의 형 순종은 몹시 기뻐하며 “심히 가상하다.”는 전보를 동생에게 보낸다.

저자는 이 대목에서 “인질 소년 이은이 연상의 일본인 학생들과 경쟁하여 우수한 성적을 올렸던 일은 그가 살던 시대의 모습과 속성을 나무의 나이테처럼 가시적으로 드러낸 사건이기도 했다. 그걸 느끼자 마음 깊은 데서 그 시대 사람들 및 그들의 슬픔과 고통과 꿈에 대한 관심이 요동치듯 치솟았다.”고 이은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일본인들은 이은을 열등생으로 만들고자 학력이 높은 학생들과 같은 반에 넣었으나 자신의 의도대로 되지 않자 육군중앙유년학교 예과로 편입시켜 버린다. 뛰어난 체력이 요구되는 군사학교에서 키가 작고 뚱뚱한 데다 체력도 열세였던 이은은 정신과 영혼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고 적극적이고 활기찼던 성격도 소극적이고 순종적으로 변해갔다.

‘마지막 황태자’는 ‘못생긴 엄상궁의 천하’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왕세자 혼혈결혼의 비밀’이란 부제가 붙은 책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에서는 이은의 생모인 엄 상궁의 행적이 처음으로 조명된다.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고종과 세자가 1년여간 러시아 공관에서 머문 ‘아관파천’을 결행한 주역이 엄 상궁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뛰어난 지력과 당찬 뱃심에다 사람들의 심리를 들여다보는 투시력과 정치감각, 권력욕을 갖춘 여걸이란 것이 엄 상궁에 대한 저자의 평가다.

못생긴 외모로도 유명했던 엄 상궁은 고종이 중전을 잃고서 다시 가례를 올려 새 중전을 맞는 일을 아관파천으로 막았다고 송씨는 해석한다. 새 중전이 들어오면 자신의 지위가 흔들릴 것을 우려,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묻어버리려고 새 중전 간택을 서두르던 친일파 세력을 괴멸하고자 아관파천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엄비 천하’로 불리며 궁중 권력을 장악했던 생모 덕분에 극진한 대우를 받으며 자라던 이은은 10살이 되던 1907년 황태자로 책봉되고서 대한제국 침략전을 펼친 이토 히로부미의 손에 끌려 일본에서의 인질살이를 시작하게 된다.

이토 히로부미는 인질 작전과 동시에 이은을 일본 황족 여성과 결혼시키는 혼혈 결혼작전도 추진했다. 불우했던 소년 이은은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님을 ‘낙선재 조약돌’로 일제에 보여주었다.

이은은 고국에 연락해 낙선재의 조약돌을 보내 달라고 하여 항상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낙선재는 그가 일본으로 끌려가기 전에 22일 동안 살았던 곳으로 당시 대한제국의 황태자가 사는 동궁(東宮)이었다. 낙선재 조약돌의 존재는 이은과 정략 결혼을 올린 고(故) 이방자 여사의 저서 ‘세월이여 왕조여’에 “은 전하는 이 돌들을 어루만지며 눈물을 흘렸다 한다. 그 뒤로 이 조약돌들은 전하의 향수와 외로움을 달래 주는 친구가 되었고 장난감이 되었다. 이 얘기를 들으면서 나도 울었다.”는 기록으로 남아 있다. 각 권 1만 3600~1만 48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12-04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