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위험’ 전국 1위 의성군 반려동물 테마공원 조성 강행 논란

‘소멸 위험’ 전국 1위 의성군 반려동물 테마공원 조성 강행 논란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18-07-20 20:54
업데이트 2018-07-20 2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 소멸’ 위험지수 전국 1위인 경북 의성군이 사업성이 의문시되는 반려동물 테마공원 조성 사업을 강행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21일 의성군에 따르면 올해 말부터 내년 9월까지 단북면 노연리 일대 3만 5000㎡의 터에 총 80억원(국비 24억, 경북도비 16억 8000만원, 의성군비 39억 2000만원)을 들여 반려동물 테마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반려동물 테마공원에는 정보센터·보호센터를 비롯해 수영장, 운동장, 캠핑장 등이 마련된다.

하지만 이 같은 사업 규모는 애초보다 크게 축소된 것이다.

군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부지 12만㎡에 총 260억원을 들여 반려동물 놀이공원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일본 이바라키현의 유명 애견 테마파크인 ‘쓰쿠바 왕왕랜드’(6만 6000㎡)보다 2배 정도 큰 규모다. 이바라키현은 인구가 300만명이나 되고 원자력 관련 시설이 집적된 도시다.

그러나 의성은 인구가 5만 3000여명, 재정자립도가 10% 대에 불과하고 인근 대도시인 대구와 포항·경주·경산·구미 등 중소도시와도 차량으로 한두 시간 거리로 멀어 사업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사업 규모를 대폭 줄였다. 사업비는 180억원, 면적은 2만 3000㎡가 축소됐다.

이런 실정에도 반려동물 놀이공원은 적자 운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 사업 실효성에 물음표가 찍히는 상황이다.

연간 운영 수입은 불투명한 반면 비용이 17억원이나 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서울 반포 근린공원 반려견 놀이터.     서울신문 DB
서울 반포 근린공원 반려견 놀이터. 서울신문 DB
반려동물 전문가들은 “반려동물 놀이공원이 외진 곳에 조성되면 이용객이 줄 수 밖에 없다”면서 “결국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북도 관계자도 “의성군이 반려동물 놀이공원을 조성하지만 사업성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사업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김상호 의성군 유통축산과장은 “용역 결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반려동물 놀이공원을 군의 미래성장 산업으로 육성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성군은 20~39세 여성 비율이 노인 인구의 14%(50%가 안 되면 소멸 위험)에 불과하다. 이런 탓에 ‘지방 소멸’ 위험지수 1위다. 게다가 1997~2014년 20~39세 여성 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다.

한편 경기도와 대전시, 제주도 등은 반려동물 놀이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하다 사업성 문제 어려움 등으로 중도에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성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