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108·끝>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108·끝>

입력 2013-08-21 00:00
업데이트 2013-08-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천장을 쳐다보고 상반신을 흔들어가며 봉노 안에서 뒤숭숭하게 오가던 논의를 귀담아듣던 최상주가 말을 받았다.
이미지 확대


 “기천 냥에 가까운 거관을 반수님이 노심초사한 공덕으로 고스란히 되돌려 받기는 하였으나, 그것은 순전히 적당을 소탕한 공로로 얻은 돈이지, 전주에게 돌려주라는 뜻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 돈은 임자는 있으되 어느 누구도 범접할 수 없도록 조처하는 게 좋습니다. 여항에서는 우리를 장돌뱅이로 하자하지 않습니까. 짚신에 감발치고 꽁무니에 짚신 매달고 십이령 고개를 수없이 넘나들었으나 단 한 번이라도 앉아서 쉬어본 적이 있습니까? 봉노에서 생면부지 사람들과 콧등을 맞대고 잠드는 처량한 신세에, 장가처가 있다 해도 오래 집을 비우기에 십중팔구 오쟁이를 지는 신세들 아닙니까. 그러하나 우리 평생 길바닥에서 뒹구는 처량한 신세를 모면할 길은 없습니다. 차제에 적선하여 저들이나마 살맛 나는 세상으로 만들어 드립시다. 두 번 다시 저들로 하여금 소루쟁이 뿌리로 죽을 끓이고, 새삼이나 나리 뿌리를 삶아 먹고 연명하며 부황나서 흰자투성이인 눈으로 사람을 멀거니 쳐다보는 반편으로 만들어선 안 됩니다. 그리고 말래 도방 근처 맞춤한 곳에 반수 어른 송덕비 하나 세웠으면 합니다. 그것이 우리가 지켜야 할 도리가 아니겠습니까. 그동안 모아둔 부의전이나 벌전만 가지고도 송덕비는 세울 수 있겠지요.”

 어느새 봉노 안에는 곰방대에서 내뿜은 매캐한 살담배 연기가 희뿌옇게 들어찼다. 본래 성품은 괄괄한 편이지만, 사소한 일에는 보아도 못 본 척 관여하지도 않고 과묵하기 그지없어 입에서 구린내가 난다는 핀잔도 듣던 박원산도 앞에 놓인 목침을 꽉 움켜쥐면서 두 눈을 부릅뜨고 작심한 듯 한마디 거들었다.

 “사람이 도적이 되는 것은 오직 굶주리고 추운 데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겠소. 차라리 구걸하여 목숨은 보전할지언정 길손의 물건을 훔치거나 취탈하지 말라는 말이 백번 곱씹어도 옳은 말이긴 하지요. 도적질을 정습하지 못하고 일삼는다면, 필경 자리에 누워 제대로 일생을 마치지 못할 것이오. 재물을 탈취하고 인명을 손상시켜 한동안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지내더라도 얼마 못 가 들통나고 감옥에 갇혀 지내다가 절명한다는 것을 저들인들 모르겠소? 구걸이라도 해서 연명하는 게 좋다는 말이 있으나, 그럼 입성 남루하고 언변도 없고 글을 읽고 쓸 줄도 모르는 헐벗은 상놈 주제에 어디 가서 구걸하기는 수월할까요? 굶다 못해 거리 송장되어 거적때기 하나 뒤집어쓰지 못하고 산송장으로 뒹구는 것을 장시 병문 담벼락 밑이나 수챗구멍에서 자주 보아온 터입니다. 저들의 딱한 처지를 역성들지는 못할망정 층하를 두거나 폄척해서는 안 되겠지요. 접장 어른께서 왜 저들을 진작 내치지 않고 지금까지 음식 공궤를 하고 잠자리를 제공해주었겠습니까. 그 까닭을 우리 동무들은 알고 있지 않습니까.”

 “박원산이 오랜만에 속시원한 말을 하는군.”

 순간 좌중이 물을 끼얹은 듯 조용해졌다. 한동안 깊은 침묵이 흘러간 뒤, 윗목에 앉았던 동무 하나가 부스럭거리며 일어나서 옹구바지 속에 감춰두었던 행낭 쌈지를 꺼내 헤아리지도 않고 쌈지째 방 한가운데로 던졌다. 또 다른 동무가 허리춤에 차고 있던 전대를 풀어 내던졌고, 다른 동무는 행전 속에 감추었던 수결 두 장을 꺼내놓았다. 그것을 필두로 모두 꿍쳐 놓았던 염낭을 열어 헤아리지도 않고 한데 모았다. 방 한가운데 던져진 쌈지들로 보아선 누구의 것인지 분간할 수 없었지만, 2000냥 이상의 금어치가 되는 거관이었다. 만기가 나가서 중두리 하나를 안고 들어왔다. 쌈지를 풀고 되돌려받은 장물 부대들도 함께 풀어서 넣고 몇 번이고 반복하여 굴릴 동안 방안에 있던 행중 동무들은 말없이 구르는 중두리를 바라보고 있었다.

 이튿날 천봉삼과 곽개천 그리고 박원산 세 사람은 중두리를 지고 곧장 생달 마을로 발행하였다. 나머지 행중은 흥부장으로 발행하여 포주인 조기출이 지키고 있는 어물 도가에서 소금과 미역을 떼어 다시 십이령길에 올랐다. 그리고 보름 뒤에 말래 접소 근처에 흩어져 기거하던 농투성이들과 아녀자들도 생달 마을로 떠났다.

 밤이면 비루먹은 개 짖는 소리만 공허하였던 생달 마을에 다시 인총이 붐비기 시작하여 생기가 돌고, 구룡산 도래기재를 넘던 영월 태백 부상들도 박달령 상로길로 돌아왔다. 경상도 내성과 안동의 경계는 멀어야 50여리 내외였고, 충청도 단양과의 경계는 60여리 상거였다. 박달령만 넘으면 영월과 태백이 코앞이었고, 울진으로 곧장 가자면 십이령 넘어 150리, 그야말로 사통팔당의 길지에 상단들은 춘수전과 추수전 때마다 여축 없이 갹출하여 토지를 사들였다. 피폐하였던 마을에 인총이 늘어나면서 각성바지 유민이 모여들어 마을은 금세 30여 가호로 늘어났다. 밭에는 옥수수가 길길이 자라 지붕을 덮을 지경이었고, 풀무간이 들어서고 마방 딸린 숫막이 다섯이나 들어섰다. 마당에는 대낮에도 노루가 뛰어들고, 솥에는 꿩이 저절로 날아들었다. 천봉삼 내외는 생달 마을 한가운데서 객주를 열었고, 달덩이 같은 아들을 얻었다. 천봉삼은 이제 생달 마을의 촌장이면서 울진 흥부장, 내성장과 영월 태백의 장시의 거래를 주름잡는 객주가 되었고, 적굴에서 거둔 농투성이들은 각자 집을 가지고 오동나무골과 생달 일대의 드넓은 묵정밭을 꿀이 흐르는 문전옥답으로 바꾸는 데 불과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오쟁이 지는 : 마누라가 도망한다는 곁말.

2013-08-2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