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77>

김주영 대하소설 ‘객주’ 완결편 <77>

입력 2013-07-16 00:00
업데이트 2013-07-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 김주영 그림 최석운

찾고 있던 길세만의 소식은 듣지 못하고 하소연만 듣다 숫막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배고령은 하루 말미를 더 두고 그의 은신처를 찾아보려 하다가 단념하고 피륙 짐을 흥정하여 지고 말래로 떠나 버렸다. 내성을 떠날 때는 안면 있는 행상들 대여섯을 만나 동행하였으니, 중로에서 짐승을 만나 경난을 겪을 걱정은 없었다. 그러나 길세만을 찾지 못해 찜찜하였다. 하지만 마음 한편으로는 말래까지 가는 십이령길 어디에서 그와 마주칠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말래 접소에서 도감 정한조에게 면박을 듣더라도 아무런 소득이 없는 내성에 두 사람만 머물고 있는 것은 내키지 않았다. 포주인 윤가의 집이 바로 코앞이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오동나무골 생달에서 왔다는 상단의 말을 곱씹어 보면, 길세만이가 이미 내성 저잣거리를 떠나고 없다는 언질을 준 것인지도 몰랐다. 겪은 사정도 그러하거니와 작반하는 일행이 차인꾼 한 사람뿐으로 단출할 때 샛재 비석거리에 당도해, 소금 상단이 눈치채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었다. 그래서 내성을 떠나서 샛재까지 해가 나절가웃으로 기울 때와 아귀가 맞게 당도하도록 행보를 조절하였다. 동행한 차인꾼은 도중에 있는 숫막에 당도할 때마다 배가 맹꽁이가 되도록 술을 퍼먹었다. 길세만을 찾아내지 못하고 빈손으로 회정하는 것이 못내 아쉬웠던 까닭이었다. 배고령은 그를 잡고 꼬드겼다.
이미지 확대


“급히 서둘러서 좋은 세 가지가 있네. 하나는 역병을 피하는 일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곤경에 처한 장소에서 달아나는 것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빈대, 벼룩 잡는 일이네.”

“다른 것은 무슨 말인지 모르겠소만, 벼룩 잡는 것은 빠를수록 좋겠지요.”

“임자는 왜 그렇게 말이 많은가.”

두 사람은 예정했던 대로 내성 떠난 지 사흘째 되던 날 샛재 비석거리에 당도하였다. 중도인 밭재의 밥자리와 빛내골에서 내성길로 나선 행상들과 마주쳤으나 정한조가 행수로 있는 소금 상단은 아니었다. 샛재 숫막의 월천댁은 담꾼과 일행이 되어 회정하는 배고령을 알아보고 알은체하였으나, 마침 그 어름에 들이닥친 상단들을 수발하느라 엉덩이에 불이 붙어 있었다. 월천댁 숫막에 사처를 잡자, 동행한 차인꾼은 남의 속내도 모르고 해가 나절가웃이나 남았으니 내처 말래까지 가자고 짓조르고 들었으나 배고령은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월천댁과 노닥다리 중노미가 길손들 수발에 숭어뜀을 하며 정신없이 돌아가는 틈을 타서 배고령은 정주간을 가로질러 구월이가 거처하는 방문 앞으로 다가가 속삭였다.

“구월이. 나 왔네.”

방안에서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이 야무진 한마디가 새어 나왔다.

“알고 있었어요.”

“엄니는 길손들 수발에 분주한 터에 방 안에서 무얼 하나?”

“깨어진 바가지 꿰매고 있어요.”

“달이 뜰 임시에 묫자리로 나오게.”

“누가 보기 전에 문 앞에서 얼른 비켜나세요.”

봉노에서는 조금 전에 당도한 상단들이 모여 앉아 밥을 먼저 먹을까, 술추렴을 먼저 할까를 두고 양단간에 담판들 한답시고, 부질없이 다투고 있었다. 방바닥이 헐벗은 각설이 불알이라고 강짜를 놓아 늙은 중노미는 군불 지피느라 바쁘고, 월천댁은 조껍질로 담근 술을 거르랴 초벌 안주 마련하랴 오지랖 챙길 겨를도 없었다. 정주간에서 나온 배고령이 시치미를 잡아떼고 봉노로 돌아와 다리쉼을 하였다. 차인꾼은 밥자리나 숙소참을 만날 때마다 술을 퍼마셨으니 저녁 먹을 일이 없었고, 그는 밥 먹을 경황이 없었다. 배고령 밤이 이슥하기를 기다렸다가 구월이와 약조한 장소인 묫자리를 찾았다. 5월이지만, 산속의 야기는 아직도 차가웠다. 비석거리 왼편으로 소나무들이 울창한 산기슭을 타고 조금만 오르면 두 사람이 밀회 장소로 자주 이용하였던 무덤 하나가 나타났다. 십이령 벼랑길가에는 그 무덤 말고도 주인 없는 무덤이 여럿이었다. 모두 그 길을 내왕하며 살았던 보부상들의 무덤이었다. 후사를 두지 않았으니 명절이 되어도 무덤을 찾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나 두 사람이 만나기로 약조한 무덤은 바로 구월이를 낳아 준 아비의 무덤이었다.

2013-07-16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