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장기 파업 끝낸 ‘소통 리더’ 서울시향 이끈다

최장기 파업 끝낸 ‘소통 리더’ 서울시향 이끈다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5-02 22:10
업데이트 2019-05-02 2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핀란드 오스모 벤스케 음악감독 선임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15개월 갈등 수습
벤스케 “좋은 음악 만들려는 악단” 기대
2020년 1월부터 3년간 지휘봉 잡아
이미지 확대
2020년부터 서울시향 2대 음악감독을 맡게 된 핀란드 출신 지휘자 오스모 벤스케.  서울시향 제공
2020년부터 서울시향 2대 음악감독을 맡게 된 핀란드 출신 지휘자 오스모 벤스케.
서울시향 제공
핀란드 출신의 명장 오스모 벤스케(66)가 3년 이상 공석이었던 서울시향 차기 음악감독에 오른다. ‘시벨리우스 스페셜리스트’로 불리는 그는 미국 오케스트라 역사상 최장기 파업 사태를 겪었던 미네소타 오케스트라를 정상화시키는 등 소통의 리더십으로 주목받았다.

강은경 서울시향 대표는 2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벤스케는 악단에 대한 헌신과 포용적 리더십으로 ‘오케스트라 빌더’라는 평가를 받는다”면서 “더불어 (객원 지휘 당시) 단원들이 그에게 가졌던 유대감 등을 높이 평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벤스케의 임기는 2020년 1월부터 3년이다.

유카 페카 사라스테, 에사 페카 살로넨, 수잔나 말키 등과 더불어 ‘지휘강국’ 핀란드의 명맥을 이어 온 벤스케는 ‘노르딕 레퍼토리’에 강점을 지닌 지휘자이자 ‘덕장’으로 평가받는다. 시벨리우스음악원 출신으로 아이슬란드 심포니, 라티 심포니 등을 거친 그는 2003년부터 116년 역사의 미국 미네소타 오케스트라에서 음악감독을 맡아 시벨리우스·베토벤 교향곡 등 주요 레퍼토리에서 설득력 있는 해석을 선보여 왔다. 벤스케는 2015년 베토벤 교향곡 5번 공연의 지휘를 맡는 등 서울시향에서 4차례 객원 지휘를 맡아 한국 관객에게도 친숙한 이름이다. 최근에는 지난 2월 ‘서울시향 시벨리우스 스페셜’ 공연으로 한국을 찾은 바 있다.

특히 그는 15개월간 계속된 미네소타 오케스트라 파업 당시 단원들의 편에 서서 사태를 수습하고 오케스트라 재건에 나서며 음악계의 관심을 받았다. 이후 2015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 대통령이 쿠바와의 국교정상화를 선언하고 미국 오케스트라로는 처음으로 쿠바 방문 연주회를 성사시켜 화제를 낳았다. 벤스케는 이날 영상 메시지를 통해 “서울시향은 좋은 음악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가득한 교향악단”이라고 기대를 나타냈다. 미네소타에서의 임기는 2022년까지다.

강 대표는 신임 음악감독 선정 소식과 함께 “서울시향에 어떤 음악감독, 어떤 대표가 와도 단원과 직원들이 안정적 시스템에서 연주하고 일할 시스템을 안착시키는 게 남은 임기에 할 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향은 박현정 전 대표와 정명훈 전 음악감독, 사무국 직원 간 갈등 등의 내홍을 겪었다. 정 전 감독은 2015년 12월 30일 정기공연을 끝으로 감독직을 사임했다. 이후 지휘자추천자문위를 구성한 서울시향은 후보자를 13인에서 6인으로 압축하는 등 음악감독 선정 절차를 거쳐 왔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9-05-03 24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