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찾은 윤이상 수제자 호소카와 “스승과 나는 아버지와 아들와 같았죠”

통영 찾은 윤이상 수제자 호소카와 “스승과 나는 아버지와 아들와 같았죠”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19-03-30 10:32
업데이트 2019-03-30 1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9일 개막 통영음악제 맞아 방문...오페라 ‘바다에서 온 여인’ 등 선보여

도시오 호소카와-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도시오 호소카와-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윤이상 선생님과 저는 아버지와 아들 같은 관계였습니다. 제 음악의 뿌리는 윤이상입니다.“

재독작곡가 고(故) 윤이상을 기리기 위한 2019 통영국제음악제를 찾은 일본 출신 작곡가 도시오 호소카와(64)는 스승 윤이상을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29일 음악제를 앞두고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그는 “스승님이 없었다면 저는 작곡가가 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공부한 그는 1974년 윤이상을 처음 만났다. 당시 일본에서 공연을 하던 윤이상을 본 뒤 그의 제자가 되고 싶다고 결심했다. 호소카와는 “일본에는 그와 같은 선생이 없었다”면서 “스승의 음악을 듣고 큰 영감을 받고 당시 일본인 선생님을 통해 윤이상 선생님에게 (음악을 배우고 싶다는) 편지를 썼다”고 말했다. 그후 2년뒤인 1976년부터 1983년까지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윤이상을 사사했다. 이후 호소카와는 서양음악과 일본 전통음악을 넘나드는 작품활동으로 현존 최고의 일본 작곡가로 이름을 알리게 됐다.

“스승께서는 고향 통영 얘기를 많이 하셨습니다. 베를린 집 근처를 산책하는데 붉게 물든 낙엽을 보고 고향의 낙엽이 더 붉다고 하셨던 게 기억납니다. 피처럼 붉은 빛깔이라고 하셨는데, 스승께서 고향을 너무 그리워하며 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호소카와는 윤이상으로부터 수없이 통영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고 소회했다. 그는 “고향인 통영으로 돌아오는 것이 스승의 꿈이었기 때문에 통영 방문은 저 역시 굉장히 기쁘고 행복하다”면서 “스승의 음악을 들으며 (통영으로 이장된) 묘소를 찾기도 했다”고 말했다. 독일 유학 때 윤이상의 집에서 하숙하기도 했던 그는 이번 통영 방문에서 윤이상의 부인 이수자 여사도 만났다.
윤이상-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윤이상-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현대음악작곡가로서 윤이상의 세계적 위상은 높지만, 정작 고국에서는 1967년 동백림(동베를린) 간첩단 사건 등에 연루되며 사후까지도 이념 논란에 휩싸여왔다. 호소카와는 “스승은 학생들에게 기본적으로 정치에 대해 얘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아버지와 아들처럼 지낸 사이이기 때문에 저는 스승을 잘 안다고 생각하는데, 그는 정치적 인물이 아니었다”며 “그럼에도 정치적 이슈에 연류돼 있은 것이 굉장히 안타깝다”고 말했다.

2012년 음악제에선 ‘3·11 쓰나미 희생자를 위하여’ 등을 선보인 바 있는 호소카와은 올해 음악제에서는 4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이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작품은 29일부터 31일 아시아 초연으로 선보이는 현대오페라 ‘바다에서 온 여인’이다. 난민 문제를 다룬 이 작품으로, 일본 전통 가무극 노(能)와 현대음악을 접목해 무대에서는 노(能) 가수와 소프라노가 함께 출연한다.

그는 “파리에서 작품을 의뢰 받았을 당시 유럽에 난민 이슈가 불거졌는데, 단지 유럽이 아닌 전세계의 문제라고 생각했다”면서 “사람들이 모두 각자의 문제를 갖고 있는데, 음악을 통해 이를 드러내고 싶다”고 말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