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잃고 다시 노래하는… 내 인생, 눈물인 듯 꽃인 듯

노래 잃고 다시 노래하는… 내 인생, 눈물인 듯 꽃인 듯

입력 2016-09-01 22:52
업데이트 2016-09-0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대 수술 후 인생 2막 연 소리꾼 장사익

‘어머니, 꽃구경 가요/제 등에 업히어 꽃구경 가요/세상이 온통 꽃핀 봄날/어머니 좋아라고/아들 등에 업혔네/마을을 지나고/들을 지나고/산자락에 휘감겨/숲길이 멀어지자/아이구머니나/어머니는 그만 말을 잃었네’

이미지 확대
소리꾼 장사익이 지난달 30일 서울 세검정로의 자택 정원에서 허공을 바라보며 ‘꽃구경’을 부르고 있다. 멀리 뒤로 보이는 인왕산이 장사익의 절창에 운치를 더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소리꾼 장사익이 지난달 30일 서울 세검정로의 자택 정원에서 허공을 바라보며 ‘꽃구경’을 부르고 있다. 멀리 뒤로 보이는 인왕산이 장사익의 절창에 운치를 더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의 2층짜리 붉은 벽돌집 정원, 백발이 성성한 한 사내가 인왕산을 바라보며 구슬프게 노래를 불렀다. 고려장 설화를 토대로 쓴 시인 김형영의 시에 곡을 붙인 ‘꽃구경’이었다. 아픔이 물밀 듯 밀려왔다. 가슴이 먹먹했다. 그의 목소리는 살아 있었다. 예전보다 더 묵직해졌다. 깊은 울림으로 영혼을 적시는 소리꾼 장사익(67)이다.

장사익이 성대 수술 후 제2의 노래 인생을 시작한다. 10월 5~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리는 콘서트 ‘꽃인 듯 눈물인 듯’에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다. 그는 “수술 후 깊이가 달라졌다”고 했다. “이젠 노래 속을 알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할까요. 예전엔 멋모르고 노래를 했는데 지금은 가사 하나하나를 더 깊이 생각하고 음미하고 의미를 두면서 부릅니다.”

2~3년 전부터 무대에서 노래 부를 때 물을 자주 마시기 시작했다. 보통 네다섯 곡에 한 번씩 목을 적셨는데 두세 곡으로 줄더니 지난해엔 한 곡당 물을 마셔야 했다. 작년 가을부턴 목도 제대로 열리지 않았다. 목소리가 모래알 섞인 듯 서걱거렸고 고음을 소화하기도 어려웠다. 지난해 연말 세종문화회관의 제야공연 땐 정말 죽을힘을 다해 노랠 불렀다. 공연 며칠 뒤 이비인후과를 찾았다. 담당의사가 성대에 새끼손가락 한 마디만 한 혹이 있어 수술해야 한다고 했다. 청천벽력이었다.

“공포였습니다. 사람들이 목소리 좋다고 칭찬하는데 그 목소리를 잃는다고 생각하니…. 노래를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젊었을 적 무역회사, 가구점, 카센터 등 15곳에서 일했는데 그 일들을 다시 할 수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 봐도 노래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었습니다. 할 수 있는 게 없다면 저세상으로 가는 게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까지 들더군요. 노래를 불렀던 시간들은 제 인생의 꽃이었고, 노래를 잃고 지낸 몇 개월은 눈물이었습니다.”

지난 2월 서울대병원에서 혹 제거 수술을 받았다. 2주간 ‘무언’(無言) 생활이 이어졌다. “말을 계속 해오다 갑자기 못하게 되니 세상과 격리돼 외톨이가 됐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그동안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난생처음 멈춰 서서 저를 돌아보게 됐습니다. 돈 주고도 사지 못할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수술 후 2주에 한 번씩 음성 치료를 받았다. 조금씩 소리가 되살아났다. 기적이었다. 지난 6월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열린 가요무대에서 수술 후 처음으로 노래 세 곡을 불렀다. “높은 소리가 약간 불안했었는데, 관객들께서 열렬히 환호해 주시더군요. 얼마나 감사하고 고마웠던지….” 요즘은 공연을 앞두고 하루 1시간 이상 발성과 노래 연습을 하고 있다.

공연 제목 ‘꽃인 듯 눈물인 듯’은 시인 김춘수의 ‘서풍부’에 나오는 구절이다. “공연 제목을 정하는 게 참 힘들어요. 재작년 20주년 기념 콘서트는 ‘찔레꽃’이었어요. 마흔여섯 늦은 나이에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 첫 마음으로 다시 출발하자는 의미에서 제일 먼저 불렀던 ‘찔레꽃’을 택했습니다. 이번엔 노래를 잃고, 노래를 다시 찾은 제 경험을 살려 정했습니다.”

공연은 2부로 구성됐다. 1부는 시의 향연이다. 김춘수 ‘서풍부’, 허영자 ‘감’, 마종기 ‘상처’ 등 시인들의 시에 곡을 붙인 노래들이 이어진다. 2부는 ‘동백아가씨’, ‘님은 먼 곳에’, ‘봄날은 간다’ 등 장사익의 애창곡들로 꾸며진다. “심란했던 사람들도 한바탕 울고 웃고 나면 심신이 깨끗해집니다. 제 노래는 씻김굿처럼 씻어 줍니다. 공연이 끝나고 나면 마음속 그림자가 사라지고 하얀 백지가 돼 삶의 그림을 다시 그릴 수 있는 힘을 얻어 가실 수 있을 겁니다.” 3만~12만원. (02)396-0514.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9-0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