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칸 띄어 앉기… 셧다운보다 더 힘들어” 뮤지컬제작자協, 방역방침 완화 요구

“두 칸 띄어 앉기… 셧다운보다 더 힘들어” 뮤지컬제작자協, 방역방침 완화 요구

김기중 기자
김기중, 허백윤 기자
입력 2020-12-30 17:16
업데이트 2020-12-31 02: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연 중단·취소 피해액 1400억 추정
부가세 면제·긴급 자금 지원 등 요청

영화관들도 임대료 인하 지원 촉구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문화예술계가 정부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정부가 과도한 방역지침을 완화하고, 자영업자들과 마찬가지로 임대료 부담을 낮춰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뮤지컬제작자협회는 30일 신춘수(오디컴퍼니 대표) 추진위원장을 필두로 10개 제작사로 구성된 협회 출범을 알리고, 정부가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조정해 달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적용하는 공연장의 ‘좌석 두 칸 띄어 앉기’에 관해 “이 지침에 따라 공연을 유지하면 제작사는 존폐의 기로에 설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2.5단계에서 영화관은 좌석 한 칸 띄어 앉기에 해당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며 “공연장은 취식도 허용되지 않고 그간 감염 전파 사례가 전혀 없었는데도 ‘셧다운’보다 더 힘들고 냉혹한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제작사에 대한 한시적 부가세 면제 등 세금 혜택과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예산 재원을 활용한 긴급 자금 지원도 요청했다. 대형 뮤지컬 1편의 제작비는 30억~150억원 규모로, 공연 중단·취소 등으로 발생한 상반기 공연 매출 피해액만 약 1400억원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사태로 관객들의 발길이 끊긴 영화관도 임대료 부담을 덜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상영관협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영화관이 입점한 건물주에게도 임대료 인하 시 세금 혜택을 주는 등 임대료와 관련한 지원책에 영화관을 포함해 달라”고 주장했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이 대기업군에 속한다는 이유로 각종 지원에서 철저히 배제됐다”며 “영화관들이 임대료를 낮추려고 건물주들과 협상에 나서고는 있지만 이를 받아 주는 경우는 드물다”고 했다.

앞서 CGV는 3년 이내에 전국 직영점 119개 중 35~40개 축소 방침을 밝혔고, 현재까지 8개 지점 운영을 중단했다.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 역시 각각 지점 3곳, 4곳을 줄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0-12-31 2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