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희의 TMI] 코로나 시국에 결혼을 한다고?

[이보희의 TMI] 코로나 시국에 결혼을 한다고?

이보희 기자
입력 2020-10-07 17:10
업데이트 2020-10-08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달 21일 결혼을 했다. 청첩장을 막 찍어내려던 결혼 한 달여 전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정부는 8월 19일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내렸다.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 집합이 금지됐다. 결혼식장에서 이를 어길 시에는 결혼 당사자는 물론 하객까지, 모든 참석자가 벌금 300만원을 내야 한다는 강력한 조치였다.

하객 간 2m 거리두기를 철저히 지켜야 하고 신랑·신부만 제외하고 모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어야 한다. 어려운 발걸음을 한 손님들에게 식사 대접도 할 수 없다. 대부분의 식장에선 식사를 대체해 와인 한 병을 손에 들려 보냈다.

한 달 뒤 상황은 어떨지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결단을 내렸다. ‘결혼’은 하되 ‘식’은 포기하기로 했다. 예약했던 식장을 취소하고 평소에 데이트를 즐기던 용산의 한 공원을 백년가약을 맺을 장소로 결정했다.

코로나 감염의 위험이 곳곳에 도사려 있는 상황이라, 야외라고 해도 손님들을 초대할 수 없었다. 친척들조차 모시지 못하고 양가 직계 가족들 앞에서 부부가 되기로 선포했다. 작은 폭포 앞에서 결혼반지를 나눠 끼고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모습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지인들에게 생중계됐다. 이들은 ‘랜선’으로 결혼식에 함께 참여하며 아낌없는 축하를 보내 줬다.
이보희 온라인뉴스부 기자
이보희 온라인뉴스부 기자
코로나 사태로 인해 반강제적으로 ‘스몰웨딩’을 치르게 됐다. 북적이는 하객을 맞이하는 대신 오롯이 신랑과 신부에게 집중된 시간이었다. 새 부부와 가족들은 서로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앞으로 평생을 함께할 사람을 소중한 지인들에게 직접 소개해 주지 못한 아쉬움은 남았다. 코로나가 사그라들면 자리를 마련해 못다한 이야기를 나눌 것이다. 식장에서 단 몇 초간의 인사로 지나가 버리는 것보다 나을 것 같았다.

코로나가 그간의 결혼식 문화를 바꿔 놓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예비부부들은 보통 결혼식 몇 달 전부터 지인들을 만나 청첩장을 건네는 것으로 결혼 준비의 대부분을 할애한다. 결혼 선배들은 청첩장을 돌리는 일이 가장 큰 스트레스였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부부가 될 준비를 하기보다 한 번으로 끝나버리는 식 준비에 많은 것을 쏟는 것이다.

하객이 많아 보이게 하기 위해 가족 또는 지인 역할을 해주는 ‘하객 알바’도 등장했다. 민망함을 무릅쓰고 수년간 연락을 하지 않고 지내던 지인을 소환하기도 한다. 오죽하면 연락이 끊겼던 지인에게 “잘 지내?”라는 문자가 온다면 ‘결혼’ 아니면 ‘다단계’라는 말도 있다.

얼굴도 모르는 부모님의 지인부터 잠시 인연이 닿고 끊어졌던 먼 지인까지 끌어모은 결혼식보다, 진심으로 축하를 보내 주는 단 몇 명이 함께한 결혼식이 더 의미 있다는 것을 코로나 시대 결혼식은 깨닫게 해 줬다. 식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그 이후부터다.
2020-10-08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